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푸른지평선
푸른지평선23.03.15

잘려나가고, 부러진 나무가지에서 새싹이 돋고, 자라는 것은 식물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요?

동네 건축공사장 출입을 금지하기 위해, 부러진 나뭇가지에 줄을 묶어 땅에 꽂아 놓으니, 부러진 나뭇가지에서 잎이 나면서 자라고 있어, 생명의 신비로움을 느끼며 감탄하였습니다. 부러지고, 꺽어진 나뭇가지에서 잎이나고 자라는 것은 식물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 군집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규모의 불변성(Scale invariance)'이라고 합니다. 이 특성은 작은 부분에서 큰 부분으로 이어지는 계층 구조적인 형태를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잘려나가거나 부러진 나무가지에서 돋아나는 새싹은 이러한 규모의 불변성 특성 때문입니다. 새로운 가지가 자라기 시작하는 곳은 식물의 세포들 중에서 분열과 성장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나무가지의 일부분이 잘려나가거나 부러져도 그 지점에서 새로운 세포 분열이 일어나 새로운 가지가 자라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성장은 식물의 호르몬인 '옥신(Oxyn)과 '사이토카인린(Cytokinin)' 등의 성장 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러한 호르몬은 새로운 셀 분열과 새로운 조직 형성을 유도하고, 새로운 가지가 자라는 것을 도와줍니다.

    결론적으로, 잘려나가고 부러진 나무가지에서 새싹이 돋고 자라는 것은 식물의 규모의 불변성 특성과 성장 호르몬의 작용 덕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잘려나가거나 부러진 나무 가지가 땅에 꽂혀서 다시 자라는 것은 식물의 생리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식물학에서는 적목생장 혹은 적목증식이라고 합니다.

    식물은 뿌리와 줄기, 잎 등 다양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증식할 수 있는 세포를 갖고 있는 부위가 있습니다. 이러한 부위를 적목 조직이라고 부르며, 이 조직은 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 여러 부위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나무의 가지가 잘려나가거나 부러지면, 적목 조직에서 새로운 세포들이 생성되어 상처 부위를 치료하고 세포 분열로 새로운 줄기와 잎이 생겨나게 됩니다. 이러한 세포 분열 과정을 통해 적목 조직이 상처 부위를 재생하고 새로운 나무가 자라나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나무가 잘려나가거나 부러진 가지를 땅에 꽂아도 자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식물의 종류나 부위에 따라 적목 조직의 발달 정도나 재생 능력 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대로 된 환경 조건이 제공되지 않으면 새로운 나무가 제대로 자라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