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의 정의가 궁금해요
이제 연말 막바지에 이르러서 주식들에 대한 배당금이 곧 나오게 될텐데 배당성향이랑 시가배당률의 정의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연말이 다가오면 주식 배당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데, 배당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는 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입니다.
배당성향은 기업의 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순이익이 1,000억 원이고 배당금이 200억 원이라면 배당성향은 20%입니다.
배당성향이 높으면 이익을 많이 나눠준다는 의미지만, 너무 높으면 미래 성장에 필요한 재투자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로,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배당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0원이고 1주당 배당금이 500원이면 시가배당률은 5%입니다. 시가 배당률이 높을 수록 투자 매력도가 커지지만, 주가 하락이 원인일 수 있으니 기업의 재무 상태를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결국 안정적인 배당을 원한다면 배당성향이 적절하고 시가배당률이 높으며 배당 지급이 꾸준한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은 회사의 순이익중 배당금 비율을 나타내고,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 비율을 의미합니다.
배당성향은 기업이 당기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번 돈 중 얼마를 배당금으로 지급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배당성향은 총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누어 비율로 나타낸 숫자입니다.
시가배당률은 시가배당률은 기업의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투자자가 현재 주가로 주식을 매수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배당 수익률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은 내가 벌어들인 돈에 비해서 얼마만큼의 배당금을 결정하는지에 대한 수치를 말합니다
시가배당율은 배당금과 현재 주가의 비율을 비교하여 결정되는 비율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은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배당 지급 여력이 높을수록 배당금을 많이 지급 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고 주주 환원정책을 잘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시가 배당률은 주식의 현재 시가를 기준으로 배당금을 평가하여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연간 배당 수익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참고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중에서 배당금으로 나가는 비율을 배당성향이라고 하고
시가배당률이란 배당금이 주가의 몇 퍼센트인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나가는 비율로, 주당배당금÷주당순이익 계산합니다.
그리고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로, 주당배당금÷배당기준일 주가로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