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16

방사능에 노출되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엊그제 뉴스를 보다 우리나라의 CT 남용에 관한 내용이 나왔었는데 너무 많은 방사능에 노출되면 위험하고 촬영할때 2인가? 어느 정도의 기준을 말하던데 그걸 보며 제가 겪었던 일이 생각나서요. 몇년전 지역에선 큰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엑스레이를 찍어보자고해 흉부쪽으로 찍었는데 찍고 나올 때쯤 다른 촬영 기사분이 와서 이렇게 높게 해놓고 찍으면 어떻하냐고 놀라며 제 눈치를 살피면서 말하더라고요.혹시나 그게 방사능이라면 제 몸에 무슨 이상을 준것인지 그때도 찜찜했었는데 물어볼 곳이 없어서 이제야 물어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서울바른신경외과
    서울바른신경외과21.11.17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CT 및 x ray에서 나오는 방사선양은 인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임신부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료진에게 미리 알려주어야 합니다. 검사가 필요하다면 납치마, 납가운을 착용하여 태아에게 노출되는 X-선을 최소화하고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엑스레이를 몇번 찍는다고 하더라도, 그 때 설정값이 너무 높거나 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CT를 여러차례 자주 하게 되면 문제가 될수는 있습니다.

    단순히 한차례 혹은 몇차례의 엑스레이로 너무 걱정하실 필요 없으며 크게 몸에 이상 생기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진단상 사용하는 병원의 엑스레이의 경우에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엑스레이의 노출량이 매우 작습니다.

    맑은날 햋빛이 있는 곳에서 하루동안 야외활동을 할때 노출되는 자연방사선 정도의 양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의료용 엑스레이 촬영도 방사선으로 인한 피폭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엑스레이는 자연에서도 피폭되는데 한국인은 평균 2.5-2.95 mSv(시버트. 방사선 피폭량의 단위)의 방사선에 피폭됩니다. 의료용 엑스레이 촬영은 부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1회 촬영시 대부분 1mSv 이하입니다. CT의 경우 연속적인 엑스레이 촬영을 하기 때문에 6-10mSv정도로 피폭량이 높은 편입니다.
    한두차례 의료용 엑스레이 촬영은 큰 문제가 없지만 잦은 촬영이나 CT 촬영을 함께하면 피폭량이 많아 질수 있으니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방사선 피폭에 대해서 기준을 내놓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는 의료 방사선 노출 권고 기준치는 따로 정해두지 않았습니다. 대부분 피폭의 위험보다는 치료나 진단으로 인한 실익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몇년전 x-ray 1회 촬영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