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차순이
차순이

미국이 지수가 조금하락하면 왜 우리나라지수는 폭락하나요?

미국 지수가 그동안 2배~2.5배 오를때 30%도 못오르더니 미국지수 빠진다고 미국보다 더 빠지는 한국지수가 이상한데요

왜 이렇게 차이가 나는지 이유가 궁금하네요? 그리고 현재 한국지수기준으로 pbr상태가 어느정도인지 코스닥 거래소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에 비해 우리나라가 증시가 약하고 증시에 대기자금도 부족하기 때문에 악재에 민감하고

      호재에 둔감한 매우 약한 시장입니다

    • 반면에 미국은 위아래가 열려있고 실적에 민감한 증시입니다.

    • 이러한 차이는 앞으로 더욱 벌어질 전망이고 오늘 미국 나스닥이 더 떨어지는데 다음주 월요일에

      우리나라의 추가적인 하락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는 미국 증시의 흐름과 비교했을 때, 유사하게 흘러가나 말씀하신 것처럼 상승여력은 부족하고 반대로 하락은 더 과하게 적용되는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는데요.

    코스피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18.65배, 12개월 후행 주당순자산가치(PBR) 1.0배로 장기평균을 하회하고 있으며, 코스닥은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104.43배, 12개월 후행 주당순자산가치(PBR) 1.85배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이 지수가 조금 하락하게 되면 왜 우리나라 지수는 폭락하게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 그대로 전세계의 대장 지수인 미국의 경제가 흔들리면

    나머지 나라들은 흔들리는 정도가 매우 심하기에

    지수 역시도 큰 폭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가 하락할 때 한국 증시가 더 큰 폭으로 하락하는 이유는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높고, 한국 경제가 수출 의존도가 높으며, 미국 경제와의 연관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투자 심리 위축과 환율 변동도 영향을 미칩니다. 2024년 8월 2일 기준 코스피의 PBR은 약 1.05배, 코스닥의 PBR은 약 2.63배입니다. PBR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투자 판단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답답하네요 국장탈출은 지능순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ㅜ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기본적으로 작전도 많고 미국 오를땐 같이 찔끔 오르고 빠질땐 2배로 빠지고 무한반복입니다 게다가 오너기업들이 많아서 상속세문제로 주가 올라가는거 자체를 싫어하니 답이 없는 시장같아요 ㅠ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이 미국 주식시장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는 이유는 한국 주식시장은 상대적으로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높아 글로벌 투자자들의 영향에 더 민감합니다.

    또한 미국 시장에서 매도세가 발생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서도 동시에 매도하기 때문에 하락폭이 더 크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한국 주식시장은 기업 지배구조와 배당정책 등에서 투명성이 부족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코스닥 시장의 PBR은 약 1.5배 수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이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으며 구조적 문제와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지수와 한국 지수의 변동 차이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경제 구조의 차이가 주요 원인입니다. 한국 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제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반면, 미국 경제는 내수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둘째, 시장 규모와 유동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 시장은 규모가 크고 유동성이 풍부하여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한국 시장은 규모가 작아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셋째, 산업 구조의 차이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시장은 기술,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이 균형을 이루는 반면, 한국 시장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 특정 산업에 집중되어 있어 해당 산업의 변화에 민감합니다. 넷째, 투자자 심리도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 투자자들은 미국 시장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재 한국 지수의 PBR 상태를 보면, 2024년 1월 30일 기준으로 코스피 지수와 코스피 200 지수의 PBR은 각각 0.91배로, 이는 한국 주식 시장이 전반적으로 저평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PBR이 1배 미만이라는 것은 기업의 시가총액이 순자산가치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교를 위해, 미국 상장주의 평균 PBR은 4.6배, 일본 닛케이225 지수의 PBR은 1.4배입니다. 이는 한국 주식 시장이 다른 주요 시장에 비해 상당히 저평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저평가 상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현상으로 불리며, 정부와 금융 당국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이 조금 하락하면 한국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한국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과 긴밀한 경제적 연관이 있기 때문에 미국 시장의 움직임이 한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둘째, 글로벌 시장에서의 불안 요인이나 투자심리 변화가 한국 시장으로 파급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미국 시장의 움직임이 한국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