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종합소득세

쾌활한강아지153
쾌활한강아지153

가족간 차용이자 추가 질문입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10억 기준 4.6퍼 46,000,000 이자

10억 기준 3.6퍼 36,000,000 이자

이니까 최소 3.6는 넘겨야 한다는 말 이해했습니다

1. 근데 최초 차용금인 10억 기준으로만 고려한 이자율인

3.6퍼만 고려해도 되는지요 ?

월 상환환액은 정해져있지만 여건이 되면 원금을

빨리 상환하는 조건이라 3억 정도는 올해 상환될

예정입니다. 그럼 이자가 36,000,000이 되지 않아

법정이자율과 차액이 1천만원이 넘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럴 경우에 문제가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ㅠ

2. 그리고 이자소득 신고할때, 얼마를 떼고 받아야하나요 ? 떼고 받는 금액은 종합소득세 합산할때 기납부로 빠지는거죠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청호 세무사입니다.

    가족 간 차용에서 증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금전을 법에서 정한 적정 금리보다 낮은 이자율로 차용해

    그 이익이 1천만원을 넘어가는 경우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차용 원금이 10억에서

    일부 상환으로 감소하는 경우

    그에 대한 이자도 함께 감소하기 때문에

    최초 차용 시 3.6%의 이자율을 적용한다면

    증여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가족에게 지급하는 이자에 대한 신고는

    원칙적으로 이자를 지급한 달의

    다음 달 10날까지 이루어져야 하며

    세율은 27.5%로 굉장히 높습니다.

    연간 2천만원 이하의 이자소득은 분리과세로

    종합소득세 계산 시엔 포함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1. 네 맞습니다. 상환 및 원천세 신고는 하시면 됩니다.

    2. 관계 없고 상환 이후 이자율도 줄이시면 됩니다.

    3. 27.5%원천징수합니다. 기납부세액 공제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가족간에 2.17억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무이자로 차입하는 경우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자금 차입자에게 증여세를 과세하게 됩니다.

    따라서 2.17억원 초과하는 자금에 대하여 연 3.6% 이상의 이자를 받는

    경우 증여세는 과세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 경우 자금을 대여한 대여한 자금대여자는 수령한 이자소득에 대하여

    원천징수되지 않은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소득세 확정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

    이자를 지급하는 사람이 이자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원천징수 후의

    금액을 지급 시에 이자수령자의 연간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계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원천징수로써 소득세 신고납부의무가 종결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