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12.10

중국은 경제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경제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요즘은 그렇지만.. 그러나 개개인의 삶은 정말 형편없는 것 같습니다. 일부만 잘살고 대부분은 못살지요. 인구가 많아서 GMP가 높은 거죠.

경제력과 인구와의 관계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나라의 생활 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생산 능력은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되죠. 산업구조라든가, 노동력이라든가.인구가 많다는 것은 노동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때문에, 국내 총생산이 클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가 많다면 gdp가 높게 나올 확률이

    적을 때보다 높습니다만 너무 많은 인구는 오히려

    저해할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의 경제력과 인구의 관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경제력이 강한 국가는 인구 수에 비해 더 많은 경제적 자원과 생산력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경제력과 인구의 관계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단순히 비례 또는 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요인과 상호작용이 있습니다.


    인구 규모와 경제 규모: 일반적으로 인구가 많은 국가는 경제 규모가 크기 때문에 경제력이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습니다. 인구가 많으면 더 많은 인력과 소비자 시장을 보유하며, 이는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인구 구성과 생산력: 국가의 인구 구성은 경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구 구성이 노동력 비율이 높고, 노동력이 고도로 기술된 경우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인구의 교육 수준과 기술력은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자원과 인구: 국가의 경제력은 자원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원이 풍부한 국가는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인구가 자원에 비해 적은 경우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인구의 소득 분포: 인구의 소득 분포가 공정하고 균형적인 경우 경제적 안정성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소득이 공평하게 분배되면 소비력이 높아지고 사회적 안정성이 확보되며, 이는 경제활동과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국가의 경제력과 인구의 관계를 평가할 때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경제력과 인구의 관계는 국가의 특정한 상황과 정책, 국제적 요인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므로 일반화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2022년 기준 1인당 GDP는 약12,700불 수준입니다. 참고로 한국의 1인당 GDP는 32,400불입니다.

    중국의 GDP는 세계 2위 규모이나 빈부 격차 등은 심한 구조입니다.

    한국 정도의 1인당 GDP 수준으면 선진국 수준이며 이런 와중에도 빈부격차가 심한 편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국가 단위 구매력은 한국의 10배가 넘는 경제 대국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구가 많을수록 향후 경제성장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여기서 인구가 많다는 것은 생산가능한 인구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해요. 다만, 이는 잠재 경제 성장을 말하는 것이다 보니 실제 인구가 많은 것이 경제력이 큰 것으로 무조건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