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몽골은 정복한 국가에 다루가치을 설치하였는데 다루가치는 어떤 의미를 가진 기관인지?
몽골제국 공통적으로 정복한 국가에 다루가치를 설치하여 관리를 하였는데요 이 다루가치는 어떠한 성격을 가진 몽골의 기관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다루가치는 몽골어로 '진압하다’라는 뜻의 daru에 gha와 chi를 붙여 그것에 종사하는 사람을 표시한 것인데요.
고려 후기에 몽골제국에서 정복지의 총독, 감독관으로 두었다가 지방장관으로도 사용된 직명이다. 고려에는 1232년(고종 19)에 처음 설치되었다. 고려가 몽골에 항복하여 개경으로 환도한 후인 1270년부터 1278년까지 개경에 상주하였다. 고려 후기에 몽골제국에서 정복지의 총독, 감독관으로 두었다가 지방장관으로도 사용된 직명입니다. 고려에는 1232년(고종 19)에 처음 설치되었습니다. 고려가 몽골에 항복하여 개경으로 환도한 후인 1270년부터 1278년까지 개경에 상주하였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다루가치는 고려 후기 몽골제국에서 정복지의 총독, 감독관으로 두었다가 지방장관으로 사용된 직명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다루가치는 기관이라기 보다는 몽고의 관직중의 하나 입니다. 다루가치의 권력이 성장함에 따라 종내에는 지방 통치뿐만이 아닌 국가의 행정 전반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는 위치로 격상되었다고 합니다. 일제시대의 총독이나 현대의 계엄 사령관 개념과도 통하는 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