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코르정 질문입니다 부작용과 기전에 대하여
심실조기수축 부정맥 진단받은 후
콩코르정 2.5mg 세달간 복용
복용중 부작용 또는 일상생활 : 피로감, 스트레스받을시 숨쉬기어려움 , 불안 공황 심해짐 , 상상력이 떨어졌다고느낌, 인지력 집중력이 떨어졌다고느낌
일요일부터 오늘까지 임의로 약을 안먹었는데
불안 공황 인지력 집중력이 회복되었다고 느꼈습니다
오늘 심장내과선생님 뵙고 부작용말씀드렸더니 콩코르정 2.5mg를 반으로 나눠서 1일 1.25mg 2달 복용하는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1.25를 먹고 한시간이 지났는데 몸에 피로감이 쌓이는게 느껴지고 인지력 집중력이 조금 떨어져 이인증같이 느껴지기도합니다 그러나 심장문제 호흡문제는 느껴지지않음
콩코르정이 베타차단제이기때문에 뇌 혈류량을 감소 시킬수있는지요??
그리고 뇌혈류량이 감소되면 집중력 인지력이 떨어질수있나요?
현재 에어팟프로3로 심박수 59나옵니다 (누워있는상태)
약 안먹을때 걸을때 심박수 80후반정도 나왔습니다
콩코르정이 심장 및 뇌 혈류량을 감소시켜 불안 공황을 악화시키고 집중력 인지력을 떨어뜨릴수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강한솔 의사입니다.
전문가 관점에서 핵심만 정확히 말씀드립니다. (설명을 단순화했지만 내용은 의학적으로 보수적으로 기술합니다.)
1) 콩코르정(비스프로롤) 기전과 뇌혈류 관련성
콩코르는 선택적 β1-차단제입니다.
작용의 핵심은 심박수 감소, 심근 수축력 감소, 교감신경 반응 완화입니다.
전신 혈압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한, 베타차단제가 뇌혈류(뇌관류)를 임상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시키는 경우는 드뭅니다.
즉, 약물 자체가 뇌혈류를 직접 떨어뜨려 인지 저하·이인증을 유발하는 기전은 근거가 매우 약합니다.
다만 간접적인 상황은 가능합니다:
심박수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 심박출량 감소 → 일시적 멍함·피로감·집중저하 가능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억제되면 → 각성도(awareness)가 낮아짐 → 둔한 느낌, 이인증 비슷한 느낌 가능
즉, 뇌혈류 감소 때문이라기보다는 심박수·교감신경 억제 때문에 체감상 그렇게 느낄 수 있는 것이 더 합당합니다.
2) 현재 나타나는 부작용의 의학적 해석
복용 시 느낀 증상
피로감
불안·공황 악화
숨쉬기 어려움
집중력·인지력 저하
이인증 느낌
→ 이 조합은 베타차단제의 전형적 부작용 중 ‘교감신경 억제에 따른 체감 저하·정신적 무력감’ 범주에 속합니다.
특히 공황장애·불안장애 기저가 있을 경우
교감신경을 갑자기 낮추면 오히려 불안이 역설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비교적 흔합니다.
“몸이 둔해짐 → 감각 모니터링 증가 → 불안 상승”
“심박수 감소 → 익숙하지 않은 신체감각 → 공황 비슷한 반응”
따라서 약물과 공황 성향이 상호작용하여 체감 부작용이 더 두드러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3) 1.25mg에도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
비스프로롤은 반감기 길고(10–12시간), 약효가 강한 편입니다.
일부 사람은 저용량에도 감수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이전에 2.5mg을 복용하며 생겼던 체감이
조건반사처럼 몸이 약 먹은 직후 다시 같은 감각을 재현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4) 심박수 변화에 대한 판단
누워서 59 bpm: 베타차단제 복용 시 정상 범위
평소 활동 시 80 후반: 정상 범위
의미 있는 저혈압이나 실신 느낌이 없다면 심박수 자체는 위험한 수준 아님
현재 수치는 과도하게 떨어진 상태로 보이지 않습니다.
5) 결론: 약이 공황·인지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가?
> 직접적인 뇌혈류 감소가 아니라, 교감신경 억제에 의한 ‘체감 변화’가 불안·공황·인지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가능한 현상입니다. 실제로 임상 현장에서 종종 보고됩니다.
특히 불안장애나 공황 성향이 있는 환자에서는
베타차단제가 불안 개선보다 오히려 주관적 둔함·이인증을 강화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느끼는 증상은
“비정상”이라기보다는 약물이 당신의 신경계 특성과 맞지 않아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에 가깝습니다.
6) 향후 안전한 접근
약 중단이나 감량은 반드시 담당 의사와 조율해야 합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비스프로롤 대신 다른 종류의 항부정맥제 또는 빈맥 억제제를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전문의만 결정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갑작스러운 중단은 rebound tachycardia 등 위험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의 중단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