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자음군 단순화와 축약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않고'를 예로 들자면
겹받침 'ㄴㅎ' 뒤에 자음이 왔으므로 자음군 단순화가 발생할 조건이 성립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ㄴ', 'ㅎ' 중 'ㅎ'이 탈락될 텐데
왜 발음은 'ㅎ'와 'ㄱ'가 만나 거센소리되기가 적용된 [안코]로 하는 것인가요?
자음군 단순화가 발생한다고 해도 그 음운이 아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뒤 음운과 음운 변동을 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아예 자음군 단순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후자라고 하면, 음절의 끝에 자음군 받침이 오고 그 뒤 음절 첫 부분이 자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테소라고 해도 자음군 단순화가 무조건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