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이로동
이로동23.09.23

미국과 한국이 금리가 많이 차이나도 괜찮을까요?

세계 패권국가인 미국의 기준 금리가 5.5%이고 우리나라른 3.5%인데다가 최근 파월의장이 향후 더 오를 수 있다고하던데 그럼 나중에 2%후반까지 차이나게 될 것 같은데 우리나라 경제에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한국간 금리차이가 상당한 상황으로 외화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이로인한 외화부족현상, 그리고 경제위기 등이 우려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가 단순히 금리 차이로 인한 외화유출로 인해 경제위기가 찾아오는 등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계속해서 금리차이로 인한 영향을 모니터링 해야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의 금리와 개방경제 체제 하에서의 한국 기준금리와 2% 차이는 실로 엄청납니다. 문제는 한국 기준 금리만 차이가 나지 않고 일본은 제로금이며 중국은 금리 인상기에 오히려 금리를 내리는 추세이며 기타 선진국들도 미국과 1% 이상의 금리차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도의 차이는 물론 존재합니다만 한국의 2% 금리차가 한국 경제에 부담이긴 하나 다른 국가들 대비 더 큰 부정적 영향은 끼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스프레드차이는 수익률 차이라 외화자본이 유출되고 환율상승이 낳아 수출 기업경쟁력 약세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차이가 많이 나면 날수록 외화 유출이 심해집니다.

    다만, 우리나라 기준금리 역시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에 맞게 정해져야 하며, 미국 기준금리만을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며 오히려 더 큰 경제 부작용을 초래하게 됩니다.

    중앙은행은 미국 기준금리뿐만 아니라, 가계 빚, 수출/수입 통계 등의 여러 지표 등을 감안해서 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더 많이 벌어진다면

    원달러 환율 급등 및 외인자본 유출 등이 우려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계속해서 벌어지게 된다면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요. 그렇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않는다면 지금의 달러환율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추가적으로 상승하지 않기를 바라고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