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1.23

소리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온갖 소리를 들을수 있고이런 소리가 어떻게 해서 들리게 되는지 이런 모든 소리들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기본적으로 물질(대기, 액체, 고체 등) 내에서의 진동입니다. 이러한 진동은 우리가 듣는 다양한 소리를 생성하는 데 기여하며, 이는 공기, 물, 금속 등과 같은 매질 내에서 진행됩니다.

    소리의 생성은 대체로 물체의 진동으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물체를 치면 그 물체는 진동하고, 이 진동은 주변의 매질(대부분 공기)을 흔들어 움직입니다. 이 움직임은 매질 내에서 압축 파동, 즉 소리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파동은 공기의 분자를 압축하고 희석시키며 진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분자 간의 밀도가 변화합니다. 이 밀도 변화는 파동 형태로 퍼져나가고, 이는 마침내 우리의 귀에 도달하여 우리가 소리를 듣게 됩니다. 우리의 귀는 이 파동을 감지하고, 이를 뇌에 전달하는 신호로 변환합니다. 뇌는 이 신호를 해석하여 우리가 듣는 다양한 소리로 인식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리는 물체의 진동과 그 결과로 일어나는 매질의 압축과 희석, 그리고 이를 감지하고 해석하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리의 높낮이는 진동의 빈도에, 소리의 크기는 진동의 진폭에 따라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의 전달을 자세히 살펴보면 입자가 진동하는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것입니다.

    즉, 소리는 공기에 압력을 만들고, 이 힘에의해 입자가 진동하면 인접한 공기분자가 서로 부딪히며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소리는 입자가 매개체이기 때문에, 입자가 없는 진공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진동이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현상입니다. 소리를 내는 물체가 진동하면, 이 진동이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킵니다. 이 진동이 공기를 통해 전달되면서, 우리 귀에 도달하여 소리를 듣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느 물체의 진동이나 두드림 떨림등으로 소리가 발생하면 소리는 매질에 따라 다른 속도로 퍼져 나갑니다.

    소리는 공기중에서는 약 340m/s의 속도로 움직이며 기체보다는 액체, 액체 보다는 고체에서 더 빠르게움직이며

    소리는 공기가 없다면 전달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발생합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물체는 공기를 진동시키고, 그 진동은 우리 귀에 도달하여 청각을 자극합니다.

    소리의 세기는 진동의 진폭에 따라 결정됩니다. 진폭이 클수록 소리가 크고, 진폭이 작을수록 소리가 작습니다.

    소리의 높이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소리가 높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소리가 낮습니다.

    소리의 음색은 진동의 모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진동의 모양이 복잡할수록 음색이 풍부하고, 진동의 모양이 단순할수록 음색이 단순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듣는 모든 소리들은 공기의 진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리의 세기, 높이, 음색은 진동의 진폭, 주파수, 모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 혹은 떨림입니다. 소리는 일반적으로 공기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만들어집니다.

    이 진동은 귀에 닿아 귀를 진동시키고, 이 진동이 뇌로 전달되면 우리는 소리를 듣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