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3.16

윤달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윤달이라는 것이 있다고 하는데

윤달이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가요?

그리고 그런 윤달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6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윤달이란, 음력과 양력의 차이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양력에서는 매달 28일, 30일, 31일로 일정한 간격으로 지납니다. 그러나 음력에서는 한 달의 길이가 약 29.5일로 불규칙합니다.

    이러한 음양력의 차이로 인해, 한 해가 지나면 양력으로는 12개월이, 음력으로는 약 354일이 되므로 양력과 음력 사이에는 약 11일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음력에서는 윤달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윤달은, 음력에서 한 해에 열세 번째 달인 "유월"을 다음 달인 "무월"로 대체하지 않고, 유월을 한 달 더 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1년에 13개월이 생기게 되며, 이를 윤년이라고 합니다. 윤년은 일반적으로 4년마다 한 번 발생하지만, 서력기원 연수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인정하지만,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취급합니다. 그리고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다시 윤년으로 취급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력과 음력 간의 차이를 조절하고, 한 해가 정확히 365.2425일이 되도록 조절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년은 지구가 태양 주변을 한 바퀴 돌아 일 년 동안의 시간이지만, 이 시간을 정확히 365 일로 맞추어서는 안 됩니다. 실제로 태양주기, 즉 겨울至(동지)를 기준으로 봤을 때 한 바퀴를 돌아 오는 데는 약 365.2422 일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차이 때문에 윤년이 도입되었습니다. 윤년이란 평년(365 일)에 하루를 더해 366 일로 하는 해를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윤달은 해와 달의 운동이 일정하지 않아서 생깁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동시에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의 주기가 정확하게 365일이나 29.5일이 되지 않기 때문에 윤달이 생기게 됩니다.

    달의 한 차례 공전 주기는 대략 29.5일입니다. 하지만 한 해가 365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2개월을 정확하게 29.5일씩 나눠 놓으면 354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한 해를 달의 월 단위로 계산하면 12개월이 아니라 12개월에 11일정도가 부족하게 됩니다.

    이렇게 11일씩 적게 계산된 달의 수가 누적되다 보면, 2~3년 정도가 지난 후에는 해와 달의 운동이 매우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달의 위상이 일정하지 않고, 그 결과 윤달이나 윤달이 없는 해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윤달은 지구와 달의 운동 주기가 일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것이며, 해와 달의 운동이 매우 정확하게 일치하는 달력을 만드는 것은 아주 복잡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 윤달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 주기와 달의 공전 주기가 정확히 29.5일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소수점 부분을 처리하기 위해 윤달을 도입하게 되며, 그레고리력 달력에서는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윤년을 도입하고 100년마다 평년으로 처리하되 400년마다는 윤년으로 처리하여 윤달을 추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윤달은 음력에서만 사용되는 어휘이며,


    양력은 1년이 365. 24일인데 반하여, 음력은 1달이 29, 25일이어서


    12개월을 합하면, 354여일이 되니, 양력과 11여일이 부족해집니다.


    이 부족분이 3년이 누적되면, 한달이상이 차이가 나므로,


    이를 양력과 맞추기 위해, 대략 2년반~ 3년사이에 1개월을 산입보충하여


    맞추는 달을 소위 "윤달"이라고 하며, 그렇지 않은 달을 평달이라고 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1년은 정확히 365일이아닌 365.25일이기 때문에 4년에 한번 하루를 추가해주어야 달력이 맞습니다. 이에따라 윤년이 4년에 한번씩 돌아오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1년이 정확히 365일(정확히는 365.242일)이 아니기 때문에 윤년이 생깁니다.

    따라서 4년에 1번씩 2월에 하루를 추가해 균형을 맞춰줍니다.

    윤달은 음력을 세는 나라에서 나옵니다. 음력은 달의 주기로 만든 달력이고 이것 또한 30일이 아닌 약 29.5일 정도 입니다.

    따라서 1년이 지나면 354일이고 365일과 11일이 차이 납니다.

    11일이 3번 반복 되면 33일이 되기 때문에 3년에 1번 한달을 추가해 보정합니다.

    2월 29일에 태어난 사람은 2월 29일이 생일입니다.

    실제 소설 보물섬에도 등장하는 소녀가 자기는 생일이 2월 29일이라 지금까지 두 번 생일을 맞았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달은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에서 1년 365일보다 조금 더 걸리는 365.2422 일을 보완하기 위해 설정된 것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은 태양년도와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윤년을 설정합니다. 보통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때문에 생기는 오차가 축적되다 보면 100년 주기로 1년을 빼는 것으로 보완하고, 또 400년 주기로는 그 해가 윤년이 되도록 보완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보완을 해도 오차가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추가로 '윤초'라는 개념도 사용하는데, 윤초는 1년을 86,400.002초로 계산하여 오차를 보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윤달은 1년의 일수를 보완하기 위해 설정된 것으로, 윤년의 추가적인 보완으로 1달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1년의 길이를 보완하는 것이 지구가 공전하는 기간과 달의 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에서는 윤년을 4년마다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규칙이 아닙니다. 실제로는 1년이 정확히 365일이 아닌 약간 더 긴 시간이기 때문에, 매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것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합니다. 실제로는 1년이 365.2422일이기 때문에,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것으로는 정확한 해결책이 아닙니다. 이 차이는 매 100년마다 1일씩 더 커지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100년 중에서는 윤년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으로 해결합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여 400년 중에서는 윤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윤달은, 한 해 동안의 12개의 달의 주기가 정확히 354일인 일반 달력과는 달리, 12개의 달의 주기를 정확히 354일보다 조금 더 긴 354.36707일로 계산한 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약 3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달력입니다.

    이러한 보완 작업을 윤년이라고 하는데, 윤년은 2월의 마지막 날인 29일을 추가함으로써 1년을 366일로 만듭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여 약 3년마다 한 번, 그리고 그보다 더 긴 기간(약 100년마다)에서는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윤달은 이러한 보완 작업의 일환으로 1년에 한 번씩 추가되는 달입니다. 보통 12개월인 해에는 1년 중 4개월(1, 3, 5, 7, 8, 10, 12월)이 31일까지이고, 7개월(4, 6, 9, 11월)이 30일까지이며, 2월은 보통 28일까지입니다. 그러나 윤달의 경우, 2월에 29일이 추가되어 총 13개월이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윤달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와 달 사이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와 각도 등이 변화함에 따라 달의 주기가 조금씩 다르게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윤달은 달력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계속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력 12달은 양력 1년 보다 약 11일이 짧기 때문에 이를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완전히 1회전을 하는 삭망월은 약 29.53059일입니다.

    이를 1년으로 계산해보면 1년에 약 11일 짧습니다.

    이 때문에 이런 날이 쌓이면 날짜와 계절과 너무 어긋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렇게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간간이 넣은 달을 윤달이라고 합니다.

    즉 날짜와 절기를 맞추기 위한 달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중국에서 쓰는 음력은 태양태음력이라고 합니다. 왜냐면 달과 태양을 모두 계산하기 때문에 복잡하거든요.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기간은 두 가지로 나눠 이야기합니다. 지구의 태양에 대한 공전을 무시한 항성월과 공전을 고려한 삭망월이죠. 달의 모양이 변하는 주기는 삭망월에 따릅니다. 달이 뜨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항성월입니다.


    지구의 공전 주기는 365.2422일이고 달의 지구에 대한 공전 주기는 29.53일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달과 해가 정해지는 것이지요. 양력은 달보다 해를 우선하는 것입니다. 1년은 일로 기준하면 365.2422일이고, 월로 기준하면 약 12.38월이 됩니다


    그래서 양력은 365.2422일을 정확히 12개월로 나눈 것입니다. 4년에 하루씩 윤년이 있고요. 그런데 12.38월을 12월로 맞추려다 보니 원래 한 달 길이인 29.53일을 넘어서 30일 또는 31일이 되게 맞춘 것(2월은 예외) 그래서 날짜와 달 모양이 전혀 관련이 없게 됩니다


    한편 한국과 중국의 태양태음력은 해보다 달을 중심으로 한 것입니다. 한 달 길이가 29.53일이니까 한 달은 29일 또는 30일이 되고 1년이 12.38월로 되어 있으니 어떤 해는 12개월, 어떤 해는 13개월로 해서 맞추는 것입니다. 19년에 7번을 넣는 게 보통입니다. 그리고 태양-달-지구가 정확히 일직선이 되는 날을 음력 1일로 정합니다. 그러다 보면 29일인 달이 있고 30일인 달이 있는 것이죠. 정확히 일직선이 되는 때는 일반인이 알 수 없으니 며칠 뒤의 음력 날짜를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1년이 13개월일 때는 윤달이 들어가고윤달을 넣는 법도 좀 복잡한데, 태양과 지구와 달의 운동을 정확히 알아야 제대로 넣는 법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달과 계절이 어느 정도 맞지만 양력처럼 잘 맞진 않기 때문에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24절기입니다. 24절기의 각 절기는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해서 특정한 위치에 있는 때로 정한 거므로 양력 날짜가 거의 일치하는 것입니다.


    바꿔 말하면 양력은 1년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한 달의 길이를 희생시킨 거고, 음력은 한 달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1년의 길이를 희생시킨 겁니다.



  • 안녕하세요. 임종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윤달 또는 윤월은 태음력에서 자연의 흐름과 생길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도입하는 음력의 달로 윤년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음력에서는 달이 지구를 열두 번 도는 데 354일이 걸리기 때문에 1태양년의 기준인 365.25일과 비교해서 한 주기마다 11일이 빨라진다. 이렇게 몇 주기를 계속 돌면 점차 음력과 태양년 간 차이가 커지면서 계절과 전혀 맞지 않게 됩니다.
    그러므로 음력과 태양년 간 차이가 한 달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날짜를 더 넣어줘야 한다. 이때 넣는 것이 윤달이며, 19태양년과 235삭망월의 날수가 거의 일치한다는 메톤 주기에 따라 시헌력에서는 19년간 윤달을 총 7번 넣는다. 즉 윤달은 2~3년에 한 번씩 옵니다.
    이건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것을 기준으로 삼는 태양력에서 1년을 365일 5시간 48분으로 여겨 남는 시간을 맞추려고 4년마다 한 번씩 2월 29일을 두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윤달이란, 음력달력에서 한 해에 13개월을 두는 해를 가리킵니다. 이는 1년의 기간이 태양이 지구를 돌아가는 기간보다 약 11일 정도 더 길기 때문에 생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매 3년마다 약 하루씩의 차이가 누적되면서, 한 해를 추가하는 윤년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 해에서 한 달을 추가하는 윤달이 생기는 것입니다.

    음력에서는 달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력월'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음력월은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의 영향으로 인해 음력월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음력달력에서는 1년의 평균 길이가 354일이므로, 태양이 지구를 돌아가는 기간보다 약 11일 정도가 부족하게 됩니다. 이 차이를 보충하기 위해 윤달을 두어, 한 해에 13개월을 두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1년은 365일이라고 인간들이 정했지만, 사실 지구가 태양을 돌려면 365.25일 걸립니다.

    그래서 4년에 한번씩은 366일로 정하여 0.25일/년 x 4년 = 1일을 윤년에 더해주게 됩니다.

    더한 1일은 2월 28일 뒤에 붙어서 2월 29일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