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새뱃돈은 언제부터 준건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새해에 새배를 새뱃돈을 주는데 언제부터 주기 시작한건가요 조선시대 아님 고려시대 그보다 이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세뱃돈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풍습 중 일본과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 많은데

      세뱃돈 또한 중국의 영향을 받은 듯 합니다.

      어린 친구들이 설날 하면 가장 기대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세뱃돈입니다.

      세뱃돈은 설에 세배를 드리고 덕담과 함께 받는 돈입니다.

      세뱃돈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유력한 설로 중국이 기원설이 있습니다.

      예전부터 중국에서는 새해에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홍바오라는 붉은색 봉투에 세뱃돈을 넣어 돈 많이 벌라는 덕담과 함께 건네주는 문화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중국인들에게 붉은색은 행운과 발전을 뜻하는 색이기 때문에 붉은 봉투를 사용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돈 대신 떡이나 과일을 주곤 했었는데요.

      이러한 중국의 문화가 국내로 넘어오고 근대화가 되어 화폐 문화가 점점 발전하면서 우리나라도 덕담과 함께 세뱃돈을 주게 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박스캣의 지식상자

    • 세배(歲拜)란 어르신이 무사히 한 해를 넘기고 새해를 맞은 것을 기념하여

      문안드리는 인사입니다.

      이것은 단지 친족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동네 어르신들께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이웃집 사람들이 어르신께 인사 올린다고 찾아온 사람에게 빈손으로 보내면 예의가 아니라 생각하며

      먹을 것이 귀한 시절에는 먹을 것을 조금씩 싸준 것이 세뱃돈의 기원입니다.

      세뱃돈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유력한 설로 중국이 기원설입니다.

      예전부터 중국에서는 새해에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붉은색 봉투에 세뱃돈을 넣어 돈 많이 벌라는 덕담과 함께

      건네주는 문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중국인들에게 붉은색은 행운과 성공을 뜻하는 색이기 때문에

      붉은 봉투를 사용한 것입니다.

      세뱃돈이 현금으로 주는 것은 돈을 만지기 쉬운 현대 산업화 이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뱃돈 풍습이 생기게 된것은 중국에서 건너왔다는 설로, 중국은 송나라 때부터 음력 1월1일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홍바오 라고 부르는 붉은 봉투에 돈을 넣어 건넸는데 이는 악귀와 불운을 물리친다는 의미를 담고있고 아랫사람이 새해 인사를 하면 윗사람이 홍바오에 돈을 넣어주며 궁시파차이 라는 덕담을 건네는 풍습이 있다고 하며 이후 이 풍습이 일본으로 전해졌고, 일제강점기에 한국으로 들어온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또, 우리나라의 세뱃돈 풍습은 조선시대부터 유래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처음 세배하러 온 아이들에게 떡이나 과일 등을 내주다가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돈으로 챙겨주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것으로 여성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조선의 양반가에서는 하인을 보내 일가친척들에게 인사를 하는 문안비가 있었는데 이때 인사를 받는 쪽에서 그 하인에게 수고했다며 세배삯을 줬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세뱃돈 문화가 처음 시작됐을 때는 떡이나 과일 등을 주고 받았지만, 1960년대 중반부터 10원짜리 지폐를 세뱃돈으로 주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새해에 새배와 새뱃돈을 주는 관습은 한국 전통 문화 중 하나입니다.

      이 관습은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조선시대에도 이어졌습니다.

      새해 첫날인 설날에는 선조들의 혼령을 모신 제사를 지내고, 가족들끼리 모여 새해인사를 나누며, 상봉을 나누는 등 새해를 맞이하는 다양한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새배와 새뱃돈이었습니다.

      새배는 제사를 지낸 후 가족들끼리 공동으로 만들어서 새해에 드시는 음식으로, 새해의 풍요와 번영을 상징합니다. 새뱃돈은 어린이들에게 주어지는 돈으로, 새해에 건강과 행운을 빌어주는 의미가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새해를 맞이하는 여러 가지 관습 중 하나로, 왕실이나 대신초 등 사회 상류층에서 이미 실시되던 것을, 서민층으로부터도 점차 보급되어 일반적으로 행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이 관습이 더욱 발전되어 가족들끼리 모여 새배와 새뱃돈을 나누는 풍습이 정착되었습니다.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 관습은 계속되어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뱃돈은 중국에서 먼저 시작이 되었고 설날에 결혼하지 않는 자식들에게 돈을

      많이 벌라고 주던것이 이어져서 일본과 우리나라로 전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떡이나 먹을것을 주었는데 1900년 들어와서는 돈을 주기 시작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