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청초한매미177
청초한매미17723.03.11

빛의 속도는 왜 한계속도 인가요?

세상에서 가장 빠른 속도는 빛의 속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왜 빛의 속도가 가장 빠른 속도이고 이보다 더 빠른 속도는 있을 수 없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에 기반한 결과입니다. 양자역학에서는 빛은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따라서 빛은 전자나 원자와 같은 입자가 나타내는 파동성과 같이 행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빛 입자를 광자(photon)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1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가 한계속도인 이유는 상대성 이론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상대성 이론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모든 관측자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즉, 어떤 관측자든 빛이 어떤 방향에서 와도 항상 빛의 속도는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빛의 속도가 우리가 생각하는 속도보다 더 특별한 속도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빛의 속도가 한계속도인 이유는 빛의 질량이 0이기 때문입니다. 질량이 없는 입자가 어떠한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그 속도를 늘릴수록 그 입자가 가져야 할 운동에너지는 무한대로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한계속도 이상으로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이론적으로 무한대에 이르게 되어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태성이론에 따라 빛은 질량이 정지질량이 없기 때문에 가장 빠르게 이동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적인 광속의 정의란 말 그대로 빛의 속도 입니다. 초속 300,000km의 속도죠.


    광속에 다다르면 시간이 더디게 흘러갑니다.

    예를 들어, 광속으로 날아다니는 우주선에 탄 사람과 지구위에 가만히 있는 사람이 있다고 칩시다(둘다 쌍둥이 형제입니다). 그상태로 30년이 지나면? 지구 위에 있는 사람은 30년의 나이를 먹습니다. 그러나 광속으로 이동하는 우주선 안에 있는 사람은 나이를 거의 먹지 않죠. 즉, 지구에 있던 사람은 꼬부랑 노인이 됬을테고, 우주선에 있던 사람은 젊을거라 이말입니다.


    빛을 제외한 모든 물질이 광속을 넘지 못하는 이유는 한가지입니다. 광속에 근접할수록 질량이 한없이 커진다는 것이죠(무거워집니다).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속도를 낼 수가 없다는건 당연한 이치입니다. 광속에 도달하는 순간 그 물체의 무게는 무한대가 됩니다. 결국 광속을 뛰어넘을 수 없다는 말이죠. 이게 바로 넘을 수 없는 '광속의 벽'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무시하고 광속에 도달했다고 가정합시다. 그럼 이번엔 광속 이하로 속도를 줄일 수가 없습니다. 역시 벽에 가로막힌 것이죠. 광속을 넘어선 세상과 광속밑의 세상은 전혀 다른 차원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마지막으로... 인간이 광속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우주를 탐험하기는 불가능합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중에 수만광년 떨어진 별이란 말이 있는데... 이건 말 그대로 빛의 속도로 수만년이 걸리는 거리에 있는 별입니다. 설령 빛의 속도를 뛰어넘는다 하더라도 절.대.로 탐험할 수 없습니다 -_-


    우주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주 끝까지의 거리는 대략 10억광년 쯤이라고 과학자들은 조심스레 추측하고 있습니다. 빛의 속도로 10억년... 상상이나 되십니까.


    아무리 광속이라지만 우주의 입장에서 보면 광속 역시 느리기 짝이 없는 굼벵이에 불과합니다...


  • 빛의 속도가 한계속도인 이유는 상대성 이론에 근거합니다. 상대성 이론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빛의 속도는 상수이며, 모든 관성계에서 이 속도는 동일하다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론적으로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는 질량이 무한대로 커지며 속도가 빨라질수록 에너지가 무한대로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질량증가의 원리" 또는 "감마인자"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원리 때문에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물체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질량이 증가하여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이는 불가능한 한계속도가 됩니다.

    이러한 한계속도는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에서는 상대성 이론을 통해 우주 및 시간의 구조, 원자력 및 입자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가 한계 속도라고 불리는 이유는 상대성 이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빛은 질량을 가지지 않는 입자인 광자(particle of light)이며, 이 광자의 질량은 0입니다. 이러한 빛의 속도는 공간과 시간을 뒤틀어 변형시키는 중력과는 다르게 어떤 기체나 물질에 의해서도 감속되지 않고, 이론상으로는 무한정 가속도를 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빛의 속도는 우주에서 측정한 모든 관측자들이 같은 값을 측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빛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광통신, 광촉매 반응, 태양광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의 질량과 관계됩니다.

    속도함수로서의 질량개념에 의하면 물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질량은 커지고 따라서 그 물체를 가속시키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이를 빛의 속도에 대입해 보면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늘어나는 물체의 질량은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됩니다.

    이 때문에 더 이상 가속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빛의 속도는 속도의 한계, 즉 한계속도가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가 가장 빠른 이유는 물리학적으로 설명됩니다. 빛의 속도는 빛의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결정됩니다. 이 상호작용은 막대한 수의 입자들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전자기파는 진동주기와 파장의 길이를 가지며, 그 파장의 길이는 빛의 속도를 결정합니다. 빛의 속도는 또한 물리학적 상수인 자유 공간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빛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가 있다면, 이것은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는 빛의 속도가 상대적이기 때문에,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가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이며, 이보다 더 빠른 속도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속도가 한계 속도인 이유는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됩니다. 상대성 이론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이론으로, 빛의 속도가 모든 관측자에게 일정하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이는 빛의 속도가 상수인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모든 관측자에게 일정하기 때문에, 빛의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거나 더 느리게 만들 수 없습니다.

    이론적으로, 빛의 질량이 0이기 때문에 빛은 무한히 빠른 속도로 가속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려면 그 에너지를 무한대로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는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는 한계 속도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