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22.12.30

보이지 않는 손이 현대경제에도 적용 되나요?

안녕하세요 넉넉한반달곰160입니다.

보이지 않는손은 옛날 경제이론으로 알고있는데

현대경제에도 적용되나요?

왜 그런건가요??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18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저서 "국부론"에서 언급한 유명한 비유로, 이기적인 개인의 사사로운 영리활동이 사회 전체의 공적 이익을 증진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생각한 가장 이상적인 "보이지 않는 손"은,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으로 하여금 모든 시장 참가자가 열심히 일하고, 자원이 효율적으로 거래되는 시장에서, 가격 결정권이 소수가 아닌 시장 참가자 전원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시장이었습니다. 

    이렇게되면 생산자는 최적의 가격으로 최적의 이윤을, 소비자는 최적의 가격으로 최대의 만족을 이루는 서로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지게 되며, 이를 유지하는 힘이 바로 시장 속의 가격 이라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정의하였습니다.

    반대로 스미스가 가장 부정적으로 생각한 "보이는 손"은 정부와 같은 특정의 집단 혹은 소수의 이익집단이 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들의 의지대로 가격이 임의로 조절되거나, 독과점 현상으로 자원의 자유로운 유통을 막아, 시장의 순기능을 막아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 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미스는, 정부는 국방, 사법, 공공 토목사업 같이 개인이 할 수 없는 일이나 개인이 하려고 하지 않을 일만을 해야 하며, 길드같은 특정 집단이 법을 등에 업고 자원을 독점하여 시장 유통을 통제하는 일이 발생하면 안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국가별로 정부의 개입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습니다만, 자본주의를 택하고 있는 나라들은 기본적으로 시장 원리에 따라서 경제는 돌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에 위기가 발생하는 경우, 개입하지 않고 시장에만 맡겼을 때 비용이 더 큰 경우에는, 적절하게 개입하여 문제을 해결하곤 합니다. 

    이런점에서 저는 현대경제에도 적용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30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은 18세기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제안한 이론으로,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면 사회의 전반적인 안녕을 증진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Smith에 따르면 시장 경제에서 자기 이익 추구는 경쟁과 가격 메커니즘이 있는 한 효율적인 자원 할당과 상품 및 서비스의 최적 할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은 현대 경제 사상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논의되고 논의되고 있습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보이지 않는 손이 현대 경제에서 여전히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경제학자들은 그것이 오늘날의 더 복잡하고 상호 연결된 세계 경제에서 덜 유용한 개념이라고 믿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이론적 개념이며 항상 실제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제에서 자원 배분과 상품 및 서비스 분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소가 있으며 보이지 않는 손은 가능한 많은 설명 중 하나일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로 현대경제학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의 원리를 완전히 인정하는 편이다. 인정하는 가운데 때때로 사적이익추구가 공익을 해치기도 한다는 시장실패, 외부효과, 불완전한시장 등의 개념을 갖는 일부가 있을 뿐, 보이지 않는손 자체를 반박하는 유의미한 경제학자나 철학자는 없습니다. 노벨상 수상자인 Joseph E. Stiglitz가 "보이지 않는 손은 때때로 안보인다"고 시장실패를 표현했는데, 이 역시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 완전하지는 않다는 투정에 불과하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