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조용한남생이120
조용한남생이120
23.07.12

보이지 않는 손은 경제 쪽에서 어떤 것을 나타내나요???

경제 관련 기사를 보면 가끔 보이지 않는 손이란 표현을 쓰던데 보이지 않는 손이란 것은 정확히 경제 쪽에서 어떤 것을 지칭할 때 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란

    경제주체들이 이기적으로 행동하도록 방임을 하더라도

    가격기구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얘기할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13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의 용도에 관한 개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사회전체 이익과 일치시키는 보이지 않는 손의 작용은, 구체적으로는 자유경쟁시장에 있어서의 경제적 균형 속에서 자본투하의 자연적 순서를 표현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것은 자본주의사회에서의 자율성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애덤 스미스가 말한 용어이며 이는 경제학에서

    각 개인이 사익을 위해 경쟁하게 되면서 의도하지 않더라도 이는 공익을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중고로 물건을 파는 사람이 A 상품을 만원에 올렸습니다.

    매입하려는 사람은 오천원을 부르게 되죠.

    점점 이들은 합의를 통해 7500원이라는 가격으로 거래하기로 합니다.

    이는 서로가 사익을 위해 행동하다 결국에는 서로가 윈윈하는 공익을 만들어 낸것이죠.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담 스미스가 언급한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s)는 개인의 이기심이 경제 성장과 부가가치 창출의 근본이 된다는 것입니다. 상업 활동을 하는 경제 주체들의 경우 더 많이 생산하고 팔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소비자들은 가성비 높은 제품과 서비스를 늘 추구하기 때문에 각자가 본인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가 경제를 발전 시키고 부의 크기를 늘리는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자본주의의 맹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으로 하여금 모든 시장 참가자가 열심히 일하고, 자원이 효율적으로 거래되는 시장에서, 가격 결정권이 소수가 아닌 시장 참가자 전원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시장이었다. 이렇게되면 생산자는 최적의 가격으로 최적의 이윤을, 소비자는 최적의 가격으로 최대의 만족을 이루는 서로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지게 되며, 이를 유지하는 힘이 바로 시장 속의 가격 이라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보았다.

    자유시장경쟁 경제의 원칙과 같습니다

    더 질좋은 상품은 저렴하게 파는 것, 소비자는 적은 비용으로 가성비좋은 상품을 구하는 것

    마치 요즘으로 보면 꿈같은 이야기 같습니다

    국가의 개입없이 스스로 사고 파는 행위가 좋다는 얘기인데 우리나라처럼 대기업중심 나라에서는 독점 과점

    그리고 담합등으로 물가가 떨어지지않고 있죠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이란 자본주의 시장에서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이루는 분배기능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경제가 어떤 정책이나 규제에 의하지 않고도 자율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움직이다라고 표현합니다. 시장의 규제를 최소화하고, 시장 참여자들(정부, 기업, 소비자)이 서로의 이익을 고려하여 자발적으로 조율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란 시장의 자율적인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경제적 결정과 결과를 가리킵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개인의 이기심과 행동이 자연스럽게 경제를 조절하고 조화롭게 작동하게끔 만드는 메커니즘을 의미합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 경제의 중요한 개념으로, 경제 주체 간의 거래와 상호 작용이 경제적 자유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함을 통해 효율적인 결과를 얻는다는 아이디어를 나타냅니다. 이 개념은 중앙집권적인 계획 경제와 대비됩니다.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면 경제 주체들은 가격, 공급, 수요 등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자율적으로 행동하게 되며, 이러한 행동들이 경제의 조정과 협업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이란, 수요와 공급은 누군가 개입하지 않아도 적정가격을 찾아 맞춰나간다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이루는 시장 기능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