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에서 그림의 전기.중기.후기 변천사를 알수있나요?
조선시대에 그림들이 많이 그려진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이런 그림들의 특징이 조선 전기.중기.후기 별로 다른 특징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런 변천사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회화는 고려시대보다도 더욱 다양해졌다. 또한 한국화 현상을 더욱 뚜렷하게 형성하였다. 이러한 한국화 현상은 이미 조선 초기부터 구도 · 공간 처리 · 필묵법 · 준법(皴法)주5 · 수지법(樹枝法)주6 등에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 시대의 회화도 송 · 원 · 명 · 청의 중국 회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고 소화하여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하였다. 또 일본의 수묵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이렇게 확립된 한국적 화풍이 시종 강한 전통을 유지하였다. 조선시대의 회화는 많은 변화를 거듭하였으니, 양식적 변천에 따라 대략 ① 초기(1392∼1550년경), ② 중기(1550∼1700년경), ③ 후기(1700∼1850년경), ④ 말기(1850∼1910년경)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