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말끔한반딧불29
말끔한반딧불2921.05.29

신경치료후 통증 해결가능할까요?

신경치료를 받았는데 통증(욱신거림)이 있어서 재신경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욱신거림은 사라졌는데 다른 통증이 생겼습니다 ㅠㅠ

어떤 느낌이냐면 신경치료할때 바늘(?) 같은걸 넣었다 뺏다 하잔아요 그때 가끔 아프던데 딱 그느낌듭니다..

궁금한부분은 만약에 문제가 뭔지 확인하려면 크라운 벗겨내지않은 상태에서 확인할수있을까요?

(치과 옮기고싶은데 그럼 치료비 날리는건가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경치료를 한치아에 통증이 느껴지는 원인은 치아안에 신경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을수 있어요.

    사람마다 치아의 신경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경치료방법으로 치료를 해도 남는 신경이 있을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대부분 큰문제는 없는데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어요.

    둘째로는 교합이 높아서 그럴수 있습니다. 보철물에 과도하게 힘이 가게되면 통증이 생겨요

    셋째로는 치아에 미세한 금이 갔을 경우에도 통증이 있을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자세한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아 보여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있어서 불편하시군요.

    재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있으면 통증의 원인을 위해 ct촬영을 해볼 수 있고

    우선 재신경치료를 했으니 시간을 두고 좀 더 지켜봐야할 것 같네요.

    치아 뿌리에 원인이 뭔지 알면 치료계획에 따라 크라운을 벗겨내야 할 수 있지만 크라운을 벗겨낸다해서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재신경치료까지 했는데 원인을 알 수 없고 치아뿌리에 염증이 있다면 치근단절제술이나 재식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크라운을 완전 접착했다면 벗겨내거나 구멍을 뚫어야하지만 임시접착한 상태면 툭쳐서 빼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경치료 후 통증이 있는 경우는 그 원인이 다양할 수 있고, 현재 질문자님의 정확한 구강 상태를 모르기에 정확한 답변은 어렵습니다.

    해당 치아 주변의 병적 상태가 나타나지 않고 신경치료가 잘 이뤄졌다는 전제 하에, 가능성이 있는 것은 뿌리 끝의 염증이 아직 남아 있는 경우와 치아의 크랙(금)입니다.

    치아는 씹는 과정에서 외상이 누적되어가며 잔금이 발생하게 되며, 치아는 재생되지 않는 조직이기 때문에 점차 금이 깊게 진행되게 됩니다.

    금이 상당히 진행되어 눈으로 보이기 전까지는 금의 진행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상당히 진행되어 눈으로 보이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치아 머리 부분에서의 금만 확인할 수 있을 뿐, 뿌리까지 어느정도 금이 진행되었는지는 치아를 발치하지 않는 이상 파악하기 어렵습니다.(특히 수직으로 금이 간 경우)

    금의 진행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순히 크라운을 씌우는 것으로 금의 진행되는 것을 어느정도 예방하고, 이보다 더 진행된 경우에는 신경치료와 크라운 치료를 같이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뿌리까지 진행된 금이 있는 경우, 신경치료를 끝내더라도 치아를 씹을 때 금이 있는 부위가 벌어지고, 씹는 것을 멈추면 금이 닫히게 되면서 해당 부위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금이 진행된 경우에는 발치밖에 치료 방법이 없으며, 발치 후 브릿지 치료나 임플란트 수술을 하게 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금의 진행정도를 치아를 뽑지 않는 이상 알 수 없기 때문에, 치아를 발치 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치아를 살려보기 위해 행하는 치료가 신경치료와 크라운 치료입니다.

    금이 간 경우 외에, 신경의 감염이 남아 있는 경우 등에서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신경치료나 치아 뿌리 끝을 잘라내는 치근단 절제술 등의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은 크라운을 벗겨내지 않는 선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병소가 큰 경우에는 방사선 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나 미세한 경우에는 크라운을 벗기기 전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보통 신경치료 이후에 우리한 느낌 및 치아를 건드렸을 때 통증은 조금 지속될 수 있는 여지가 큽니다.

    보통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며 서서히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경치료 후 일정기간 통증이 지속될 순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1달정도 지나면 괜찮아집니다.

    바늘로 찌르는 통증이 있으신것으로 보이는데, 크라운을 벗겨내지 않고 확인하는것은 방사선검사를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신경이 혹시 남아서 그런것인지, 치근단염증이 있는것인지, 충전재가 과잉충전되어 그런것인지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경치료하고 크라운을 한지 오래되었다면, 크라운 내부가 오염되어서 염증이 생길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 그런상황같진 않아보입니다.

    정확한것은 치료받은 치과에서 통증이 있다고 말씀드리고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