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Youangel
Youangel

"디프테리아"는 어떠한 바이러스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디프테이라"라는 바이러스가 있어서 사람몸에 치명적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 바이러스는 어떠한 원인으로 생긱고 증상은 어떠한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디프테리아는 우선 바이러스가 아닌 세균-박테리아-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라는 세균에 의해 유발됩니다.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호흡기 감염병이고 감염된 사람의 기침할 때 공기 중으로 분비되는 에어로졸-미세한 침방울-에 의해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 됩니다. 증상은 일반적인 호흡기 감염의 증상과 동일합니다. 목의 통증과 인후통, 발열과 오한이 주된 증상이며 심한 경우 호흡 곤란이 올 수 있습니다. 디프테리아는 백신을 접종하면 감염이 되지 않는 질병으로 대부분 어린 시절 맞는 예방 접종 DTP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백신을 접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을 말씀하시는 거 같습니다. 바이러스가 아니고 세균입니다. 소아에서 일어나는 법정 전염병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디프테리아균은 바이러스가 아니고 그람 양성인 박테리아 입니다.

    세균에 의해 감염되는 병인데요.

    보통 호흡기를 통해 감염이 일어납니다.

    감염되면 극심한 발열과 인후통, 그리고 편도나 근처의 조직이 파괴되어 흰 막이 생기고 림프절이 붓습니다.

    콧물과 코피, 그리고 몸의 붓기와 염증이 심해져 위독한 상황이 됩니다.

    현대에는 어릴 때 바로 예방접종을 하게되어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예방접종은 보통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이 종합으로 예방되는 백신으로 맞으며,

    예방효과는 10년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 디프테리아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박테리아에 의한 질병입니다. 코린네박테리아속의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입니다. 이 균은 인체 상부 호흡기 점막에 기생하며, 독소를 분비하여 심각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인후통, 삼키기 어려움, 고열, 림프선 종창 등이 있고, 가벼운 경우 감기 증상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방치하면 호흡곤란, 심장마비 등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디프테리아는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하지만, 접종률 저하 시 재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 우선 디프테리아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세균의 일종인 디프테리아균의 외독소에 의한 전염력이 강한 급성 감염 질호나입니다. 디프테리아는 인후, 코 등의 상피 조직에 국소 염증을 일으키거나 장기 조직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체외 독소를 분비하여 혈류를 통해 신체 각 부위에 이를 운반하기도 하며 우리나라 법정 감염병의 제 1급 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디프테리아의 증상 질병은 일반적으로 박테리아에 노출된 지 며칠 후에(평균 5일) 시작된다고 하며 이후 디프테리아 증상은 며칠 간에 걸쳐 인후통, 삼킴 통증, 목쉼, 전반적인 병감(전신병감), 발열(38~38.9°C), 빠른 심박수가 나타납니다.

  • 디프테리아는 박테리아인 코리네박터이움 디프테리아라는 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이 균은 인후나 기도 부위에 침투하여 독소를 분비하며, 이 독소가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디프테리아는 주로 인후에 염증을 일으키며, 목의 통증, 열, 인후통, 고열, 목의 흉통, 백색 덩어리가 생기는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치명적인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심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 디프테리아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디프테리아는 바이러스가 아닌 균으로 분류되고, 감염 시 인후나 코의 상피조직쪽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장기에 장애를 일으킵니다. 이 세균은 독소를 내보내기 때문에 혈액을 타고 이 독소를 운반시키기도 하여 전신에 염증반응을 전달하기도 합니다.

    주 감염원은 디프테리아를 가지고 있는 환자나 보균자와 접촉했을 때 옮게되고 재채기나 콧물, 상처부위를 통해 옮겨집니다.

    이러한 감염원의 부위마다 증상이 다르고 고열을 동반하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