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아름드리
아름드리

중고장터에서 원래 가격보다 훨씬 싸게 내놓으면 잘 나가는 거 같은데요. 마케팅에 이런 원리를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지요.

중고장터에서 상품의 원래 가격을 보여주고 그것보다 훨씬 싸게 내놓으면 잘 나가는 거를 볼 수 있는데요. 혹시 마케팅에 이런 원리를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마케팅에서는 이런 원리를 앵커링 효과라고 부릅니다. 사람들은 처음 본 가격이나 정보를 기준으로 다른 가격이나 가치를 판단하게 됩니다. 그래서 원래 가격을 보여주고 싸게 내놓으면 사람들이 더 큰 할인이라고 느껴서 상품을 더 잘 사게 됩니다. 이 방법은 상품을 더 좋아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중고장터에서 상품의 원래 가격을 제시하고 그것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은 "참조 가격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마케팅에서 자주 사용되는 심리적 원리로, 사람들이 제품의 가치를 평가할 때 어떤 기준점(참조 가격)을 가지고 판단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참조 가격 효과는 비교를 통한 가치 인식, 절약 감각 강조, 신뢰성 증대 효과를 주고, 이는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어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참조가격 기법인데 소비자들이 상품의 가치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원래 가격을 참조 가격으로 제시하면 소비자들은 이를 기준으로 할인된 가격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원래 가격이 100,000원인 상품을 50,000원에 판매한다고 하면, 소비자들은 50% 할인이라는 큰 할인폭을 인식하게 되어 구매 욕구가 증가합니다.심리적 효과들을 활용함으로써 중고장터에서 상품을 더 빠르게, 그리고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게 되는 방법입니다.

  • 사람의 심리 자체가 최소한의 금액을 지불하고 최대한의 만족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싸게 파는 물건이 잘 팔리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경쟁자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여 빠르게 시장을 선접하거나 침투하는전략을 말하는데 저가포지셔닝 이나 가격 침투 전략이라고도 하는 마케팅 방법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수요 자극과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을 설정하는 전략으로 상당한 규모의 경제가 있거나 구매자가 가격에 민감하고 판매자가 경쟁 우위가 거의 없을 때 구사하게 됩니다.

  • ✅️ 사실상 이는 마케팅 원리라기 보다는 '가격이 싸 보이면 더 많이 팔린다.' 라는 경제학 수요의 기본 법칙으로 설명된다고 할 수 있으며, 실무로 본다면 소위 '박리다매'로 설명이 가능하겠습니다.

  • 말씀하신 것과 같이 가격을 원래보다 싸게 내려놓고 많이 파는 것을 마케팅에서는 이런 원리를 가격할인이라고 부릅니다. 가격 할인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일정 기간 동안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마케팅 전략이라고 합니다.

    가격 할인은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여 판매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마켓팅 측면에서 업 태그 up tag 라고 정가 자체를 일단 높게 잡고 회원가입시 10프로 할인 친구추가때 10프로 할인 각종 프로모션으로 몇프로할인 등 추후 할인을 염두에 두고 애초에 정가를 높게 매기는 업 태그 마켓팅이 요즘 패션업계등에 일반화 된듯 싶습니다

  • 소비자는 가격을 비교하고 저렴한 것을 찾기에 이런 것도 하나의 마케팅 요법 중 하나입니다. 상품의 원래 가격을 보여주고 그것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할인 혜택을 느끼게 하고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질문해주신 중고 장터에서 가격을 싸게 내놓으면 잘 나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 자체가 마케팅의 일환이고

    어쩌면 가장 강력한 마케팅의 수단입니다.

    결국 경쟁을 해서 다른 상품보다 빠르게 판매하기 위해서 가격 결정을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마케팅에서는 가격 경쟁력의 우위라는 것이 있습니다.

    즉 원가 우위전력을 실현하여 같은 제품을 더 저렴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같은 제품에서 가격 경쟁력이 좋다는 것은 소비자가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