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게스테론 처방후 주기 질문합니다
제가 지금 해외에 거주중인데, 피임약 2년간 장기복용 후 작년 12월 중단했습니다 (섬유선종 등의 이슈로)
이후 부정출혈, prolonged period, 온몸여드름 증상이 다시 심해져서 병원에서 pelvic ultrasound, sonohysterogram, urine test, blood test 다 받고 PCOS가 맞다는 진단을 받았는데요, (자궁 폴립 없고 다른것도 이상없지만 프로제스테론 0.6으로 낮고 에스트로젠은 정상범위지만 그속에서 낮음)
그리고 오늘 프로제스테론 7일치를 처방받았습니다. 생리가 안끝나서요 (3/29 일찍온 생리가 아직도 진행중 - 양이
늘었다
줄었다)
그런데 질문이
일단 오늘부터 먹으면 며칠 안에 피가 멎을거고 끝내면 며칠 안에 출혈이 있을거라는데
1. 며칠안에 출햘이 시작되어야 하나요?
2. 그걸 생리라고 봐야하나요?( 출혈이 시작되면 이걸 생리1일차로 봐야하는지, 그 이후 menstrual cycle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면 되는지)
3. 만약에 며칠 안에 출혈이 안멎으면 추가 처방을 보통 어떤식으로 해주는지
또 추가 질문이, 이 요법 이후에도 안돌아오면 다시 피임약을 먹을수도 있다 하는데, 제가 야즈를 2년간 먹었는데 다른 종류의 피임약을 먹으면 유방에 영향이 없을/덜할수도 있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미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프로게스테론을 7일간 복용하면 보통 복용 종료 후 2~7일 안에 철수성 출혈(=인위적으로 유도된 생리)이 나타납니다. 이 출혈은 자연 생리와 성격은 다르지만, 이후 생리 주기의 "1일차"로 간주하여 다음 주기를 계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출혈이 시작되면 이를 생리 1일차로 보고, 그 다음 배란이나 생리 예상 시점도 이 기준으로 잡습니다. 만약 프로게스테론 복용 후 일주일 이내에 출혈이 오지 않으면 추가로 혈액검사나 초음파를 하여 임신 여부나 자궁내막 상태를 점검하고, 경우에 따라 추가 호르몬 치료를 고려할 수 있어요
추가로, 야즈처럼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복합 피임약은 섬유선종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다시 피임약을 시작해야 한다면, 에스트로겐 함량이 더 낮거나, 프로게스틴 단독 제제(미니필) 사용을 의사와 상의할 수 있습니다. 단독 제제 추천드려요
종류에 따라 유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니, 복용 전 꼭 본인의 병력과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산부인과에서 세밀한 상담을 받아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추가로 피임 목적뿐 아니라 생리주기 조절 및 피부 개선 등 목적에 맞춰 약제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프로게스테론 처방을 받은 후의 주기에 대해 여러 가지 궁금한 점이 있으신 것 같네요. 먼저 프로게스테론을 복용하면 대개 약물 복용을 시작한 후 며칠 이내에 출혈이 멈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개인의 상태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 있어 시간을 좀 더 두고 지켜보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프로게스테론 복용을 마친 후에는 보통 2-7일 이내에 출혈이 시작됩니다. 이 출혈은 약물로 인한 인위적인 탈락 출혈로, 이를 생리의 첫날로 고려할지에 대해선 환자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출혈이 예상 기간 내에 멈추지 않는다면, 추가 처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요, 주치의가 다른 용량이나 다른 호르몬 치료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철저한 개인 진단과 관찰이 필요하므로 주치의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피임약 복용에 관한 질문이 있었네요. 피임약의 종류에 따라 유방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이전에 복용하던 야즈와는 다른 호르몬 비율을 가진 피임약을 통해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피임약이 있으며, 각기 다른 특성과 부작용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인의 건강 상태와 상황에 가장 적합한 옵션을 주치의와 상의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