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6.01

스마트팜이란 무엇을 이야기하나요?

이제는 농촌에서도 옛날 우리조상들이 농사 짓던 방식으로는 살아 남을수가 없다고 스마트팜을 많이 한다고 하던데 스마트팜이란 어떤농사 방법을 이야기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스마트 팜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 습도 · 햇볕량 · 이산화탄소 · 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관리도 가능하다. 스마트 팜으로 농업의 생산 · 유통 · 소비 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및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다.[출처] ICT 기술을 사용하는 농업 방식을 말하므로 노지, 온실, 식물공장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4]

    공장 자동화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팩토리와 유사한 개념으로 한국에서 제시된 단어로 국내에서도 사용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사용되는 경우를 찾기 어렵다. 해외 자료는 Hightech greenhouse, Precision agriculture 등으로 검색이 가능하지만 이들은 이전부터 존재하던 유사 개념으로 스마트팜과는 1:1로 대응되는 개념은 아니다.

    흔히 생각하는 스마트팜, 식물공장 형태의 스마트팜은 해외에서 Vertical Farm, Vertical Farming이라 불린다. 식물공장의 경우 대량재배가 목적이기 때문에 기존 수평재배에서 사용되지 않은 공간인 수직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직재배가 가능하려면 결국 식물 LED가 탑재되어야 하고 흙이 아닌 양액으로 재배가 된다.

    기존 시스템에서 단순한 온습도에 따른 관리같은 단순한 시스템은 아두이노 등의 MCU(Micro Controller Unit) 기판과 라즈베리 파이 등의 사물인터넷 기술이 매우 저렴해져서 쉽게 구현할 수 있지만, 대규모의 영농으로 갈 수록 안정성이 부족해지며 유지보수에 투자해야하는 시간이 늘어나기에 자작만으론 한계가 빨리 찾아온다는 평이 있다.

    참고로 후술될 식물재배기나 메트로팜, 남극기지나 우주정거장에서 운영 중 혹은 예정인 것들, 그리고 첨단 수직농장까지 이 모든 것은 스마트팜이자 식물공장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개요에서 상술한 것처럼 헷갈리지 않기 바란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1

    스마트팜은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농업 방식입니다. 스마트팜은 전산화된 센서, IoT(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토양, 작물, 날씨 등 농업 생산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생산성 향상과 작물 품질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스마트팜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팜에서는 작물 생육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작물의 생장 상태, 토양 영양 상태, 수분 상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농작물에 필요한 물, 영양분, 빛 등을 조절하여 효율적인 생산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팜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기상 정보, 작물 생육 정보, 시세 정보 등을 수집하여 분석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농작물 생산 일정을 예측하고, 적정한 시기에 농약, 비료 등을 사용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고 효율적인 생산을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은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농약 및 비료 사용량을 줄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며,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