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2.03

거란은 왜 고려에 간섭을 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인 고려가 거란과 전쟁을 하는 드라마를 자주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드느 생각이 왜 거란은 고려 내정간섭을 하게 되었는가? 입니다. 왜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란은 5대 10국의 혼란기를 활용하여 만주와 몽골 지역의 강자로 군림하였으며, 후진의 건국을 도와 연운16주까지 차지하여 중원을 처음으로 지배한 정복왕조입니다. 그러나 후주 출신의 절도사 조광윤이 송을 건국(960)하고 거란의 막강한 라이벌로 등장하자 거란은 송과 대립하는 상황이 됩니다.

    그런데, 고려가 일찌기 친송 정책을 추진하자 거란의 배후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송과 대적하기 여럽게 됩니다. 따라서 송과 맞서는 거란이 송과 친한 고려를 제압하려는 의도에서 고려를 993년 이후 3차례나 침략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란과 같은 경우에는 송나라를 정벌하였기에

    송과 고려가 친선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탐탁치 않아

    그랬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란은 동호-선비계 몽골계 종족으로 5세기 경에 발원하여 10세기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만주와 중국 북부를 관할하는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떠오르게 됩니다. 거란은 송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송나라를 공격하기 전에 뒷쪽의 공격을 대비하기 위해 송과 화친을 맺고 있는 고려를 침략한 것입니다. 1차 침입은 993년에 소손녕이 8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으나 서희의 담판외교로 오히려 강동 6주를 확보하였고 2차는 1010년(현종 1)에 강조정변으로 목종을 폐위시키고 현종을 옹립한 강조를 처단한다는 것을 빌미로 오의 성종이 4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습니다. 현종이 나주까지 피신하였으나 강조를 산채로 잡아 처단하고 돌아갔습니다. 3차는 1018년(현종9)에 현종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는 이유로 소배압의 10만 대군이 쳐들어왔으나 귀주대첩으로 강감찬 장군에 의해 섬멸당하고 살아돌아간 이는 수천명에 불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