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엄격한매사촌113
엄격한매사촌113

카페인은 어떻게 졸음이 오지 않게 하나요?

카페인을 섭취하면 졸린 기운이 없어 지는거 같은데요

어떤 작용 때문 인가요?


정말 졸릴 때는 카패인 섭취도 소용이 없던데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능한보석새234
      유능한보석새234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 섭취 시 피로가 풀리는 것은 피로와 졸음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데노신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카페인이 차단시키기 때문입니다. 결국 '졸린 감각'이 잠시 차단되는 것인데 이는 임시 효과이며 지나친 카페인 섭취는 내성을 키우고 수면부채가 쌓일 수 있어 적당량만 섭취하시길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뇌의 화학을 변화시켜 졸음을 방지합니다. 이것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데노신과 카페인: 우리가 HowStuffWorks의 “How Sleep Works” 기사에서 배운 것처럼, 화학 물질인 아데노신은 뇌에서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아데노신 결합은 신경 세포 활동을 늦추어 졸음을 유발합니다. 뇌에서 아데노신 결합은 혈관을 확장시키기도 합니다(수면 중 더 많은 산소를 통과시키기 위해). 하지만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합니다. 따라서 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지하면서 신경 세포 활동이 빨라집니다. 뇌의 혈관도 카페인으로 인해 수축되므로, 두통 약에 카페인이 들어가는 이유입니다.

      카페인과 아드레날린: 카페인은 뇌에서 활동이 증가하게 합니다. 이 활동을 감지한 뇌하수체는 비상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부신에서 아드레날린을 분비합니다. 아드레날린은 “싸움 또는 도망” 호르몬으로,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페인은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경계 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결론적으로 카페인은 뇌의 화학을 변화시켜 졸음을 방지하며,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경계 상태를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이 체내에 흡수되면 뇌를 자극하여 각성상태로 만들어줍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졸음이 안오게 되는데요. 하지만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양을 먹더라도 사람에 따라 받아들이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이 졸음을 쫓는 이유는 두 가지 주요 작용 때문입니다.

      첫째, 카페인은 아데노신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작용을 차단합니다. 아데노신은 뇌에서 졸음을 유발하는 물질인데,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이 신경 세포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졸음을 예방합니다.

      둘째, 카페인은 도파민과 같은 각성 효과를 가진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도파민은 기분과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주의력을 높여 졸음을 퇴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극도로 졸린 경우 카페인이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뇌의 피로 물질 축적이 너무 많아 카페인의 작용을 능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졸음 해소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방해하여 졸음신호를 전달하는것을 방해하고 각성상태를 유지하게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신경전달물질이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여 졸음의 느낌을 전달하지 못하게 방해하고, 신경을 깨우며 각성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개인의 차이는 있지만, 흔히 사람들이 카페인이 들어간 식품을 먹으면 잠이 안 온다고 한다. 이는 카페인이 심박을 증가시켜 몸을 흥분 상태로 유도하고, 수면 유도 작용을 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대신 들어가 수면 작용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허나 이러한 작용은 우리 뇌가 아데노신 수용체를 더 만들어 더욱 피곤하게 만들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우리몸은 카페인을 더 많이 필요로 한다.(출처 : 나무위키 - 카페인)

      너무 피곤하면 아데노신이 많이 분비되어서 카페인을 아주 많이 섭취해야 졸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에는 각성을 조절하는 아데노신 수용체가 있습니다. 아침에는 우리 몸을 각성시키고 저녁과 밤에는 휴식을 취하도록 졸음을 유발하는 작용을 합니다. 카페인은 이런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졸음을 억제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작용을 차단하여


      잠이 오지 않게 합니다.




      아데노신은 뇌에서 "수면 촉진제"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입니다.


      아데노신 수치가 증가하면 졸음을 느끼고, 수면에 빠지게 됩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의 작용을 차단합니다.


      이로 인해 졸음을 느끼지 못하고, 잠이 오지 않게 됩니다.


      카페인은 또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각성 효과를 가진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카페인의 효과예요

      카페인은 섭취 후 약 30분 만에 효과가 나타나며, 3~4시간 정도 지속됩니다.


      개인의 카페인 민감도에 따라 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과다 섭취 시 불안, 심장 두근거림,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커피, 홍차, 녹차, 에너지 음료, 콜라 등에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음료마다 카페인 함량은 다릅니다.


      커피 한 잔(약 240ml)에는 평균 80~185mg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임산부, 수유부, 어린이는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면증, 불안, 심장 질환 등이 있는 경우 카페인 섭취를 조절해야 합니다.


      카페인 섭취 후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의 작용을 차단하여 잠이 오지 않게 합니다.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를 자극하여 졸음을 억제하고 각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을 섭취하면 잠이 오지 않는 것은 유전적으로 카페인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인데요 카페인 민감한 사람은 특이체질이라고 합니다 이런런 사람들은 커피 한 잔에도 신경과민, 심장 박동수 증가, 불면증 등이 생길 수 있다. 유전적인 영향이기 때문에 커피를 지속적으로 마신다고 해서 증상이 나아지지는 않기 때문에 카페인을 섭취를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