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고민해결사
고민해결사

중위소득 180%는 소득이 얼마가량이고 이런 사람들은 흔한지요?

우리나라는 빈부격차가 큰 것 같습니다

인터넷을 보면 이사람 저사람 다 연봉 6-7천만원 그러지만

실상은 20년 가까이 일해도 5천만원도 못 버는 사람들도 흔한것 같습니다

중위소득 180%는 어느정도 되며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2024년 중위소득 180%는 아래 표의 4번째 줄에 가구 수 별로 분류되어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가구당 중위소득의 계산은 100%를 기준으로 비율을 곱해서 정해집니다

    4인가구 중위소득 180%는

    100%×1.8=10,313,843 이런 소득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주로 의사나, 변호사등 이런 전문직이어야 가능하거나 대기업도 많이 받는곳들도 있고 주로 직장이 좋은 곳들인거 같습니다

  • 2023년 기준 1인당 중위소득은 월 207만원 입니다.

    그럼 중위100%는 207×12= 2484만원 정도 이고

    중위 180%는 2484×1.8 = 4471만원 정도 입니다.

  • 기준중위소득 기준은 가수원수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어 있습니다. 2024년도 기준중위소득의 기준은 1인가구 2,228,445원 / 2인가구 3,682,609원 / 3인가구 4,714,657원 / 4인가구 5,729,913원 입니다. 여기에 180%을 산정하시면 되는데, 계산의 따라 중위소득 180%는 1인가구 4,011,201원 / 2인가구 6,628,696원 / 3인가구 8,486,383원 / 4인가구 10,313,843원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중위소득 180%가 얼마인지 이해하려면 먼저 중위소득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중위소득은 소득 분포에서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소득을 말합니다. 즉,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이 중위소득입니다. 한국의 경우, 중위소득은 매년 정부에서 발표하는데, 이는 가구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4년 기준으로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약 2,308,000원

    • 2인 가구: 약 3,839,000원

    • 3인 가구: 약 4,940,000원

    • 4인 가구: 약 6,019,000원

    중위소득 180%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약 4,154,000원

    • 2인 가구: 약 6,910,000원

    • 3인 가구: 약 8,892,000원

    • 4인 가구: 약 10,834,000원

    이제, 중위소득 180% 수준의 소득이 흔한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의 소득 분포를 보면, 중위소득 이상을 버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절반 정도입니다. 중위소득 180% 수준의 소득은 그보다 훨씬 높은 소득층에 속합니다. 따라서, 중위소득 180% 이상의 소득을 버는 사람들은 상위 10~20% 정도의 고소득층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인터넷이나 주변에서 연봉 6~7천만 원을 버는 사람들이 많다고 느낄 수 있지만, 이는 주로 대도시나 특정 직종에 한정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전국적으로 보면, 많은 사람들이 연봉 5천만 원 이하로 생활하고 있으며, 이는 통계 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빈부 격차가 큰 편이며, 특히 최상위 소득층과 하위 소득층 간의 격차가 큽니다.

    결론적으로, 중위소득 180% 수준의 소득은 상당히 높은 소득층에 속하며, 이를 버는 사람들은 흔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위소득 이하나 그 근처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연봉 5천만 원 이하인 사람들이 많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