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생활지원금으로 최소 25만원에서 50만원까지 지급한다는데. 그러면 국가 전체적으로는 얼마의예산이 필요할까요?
전국민 생활지원금으로 최소 25만원에서 50만원까지 지급한다는데. 그러면 국가 전체적으로는 얼마의예산이 필요할까요? 그리고 그 효과로영세자영업자나 국민소비생활이 더 나아질까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인구를 약 5200만명으로 계산하였을 때 25만원씩 지금하면 약 13조원, 50만원 씩 지급하면 약 26조원 지급해줍니다.
단기간 내수심리는 올라갈 수 있으나 근본적인 국민소비생활에 도움은 크게 안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전국민 생활지원금으로 15 ~ 50만원 선까지 지급이 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략 13조원의 전체 예산으로
이렇게 되면 국민 소비 생활에 아주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이로 인해서 자영업자들에게는 단비가 될 것입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전국민 생활지원금(민생지원금) 정책은 1인당 최소 25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차등 지급하는 형태로 논의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금액과 지급 방식은 소득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입니다.
전 국민 약 5,000만 명에게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전체적으로 약 12조 5천억 원에서 최대 25조 원 규모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전국민 생활지원금을 최소 25만~50만원까지 차등지급할 경우, 구체적으로 일반 국민 약 4235만 명에게 1인당 25만원,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족 약 100만명에게 40만원, 기초생활수급자 255만명에게 50만원을 지급한은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를 합산시 22조원 내외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의 인구는 약 5200만명의 인원이 있으며, 이를 지급하기 위해 25만원, 50만원을 고려해본다면, 최소금액은 13조, 약 26조원 정도의 금액이 들것으로 예쌍이 됩니다. 이러한 생활지원금을 지급하면 단기적인 소비의 효과나 자영업자들의 실적이 상향되는 등 사회가 안정적인 흐름으로 단기적으로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소비의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부분은 예측하기 어렶흡니다. 또한 이러한 생활지원금이 사용되는 부분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아쉬울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특정 시장을 제외하고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국민 생활지원금에 대해 당정협의를 거쳐 19일 국무회의에 올라올 정부 추경안은 약 20조∼21조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