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50년 되면 우리나라 경제가 세계 50위권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너튜브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가장 큰 사유는 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인력 부족 및 세대 교체의 연착륙 없이 겪는 갈등 등
각 산업별로 인재 육성에 대한 고민은 공통적이며 특히, 조선 화학 철강 등 전통적인 제조업체의
인력난은 갈수록 심화되어 2050년도에는 기존 인력의 유출과 젊은 세대 진출의 자연스런 교체가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다고 경고하는데..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에 따른 중.장기적 경제 전망을 어떨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분명 교체되는 시기는 고통을 겪을 것이나 저는 다르게 보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를 공부하고 있는 저로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 현재 빠른속도로 AI, 웹3 기술력을 활용한 가상공간인 메타버스세계가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미 해외에서 초등생교육부터 대기업까지도 대체되고 있고 이미 성공사례들이 슬슬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도 내노라하는 대기업들도 해외 메타버스 회사들과 협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년내에 슬슬 변화의 물결이 보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제 물리적 공간의 제약이 해제된다는 얘기이며
해제되고 가상공간에서 대부분의 근로,여가,문화 생활이 가능해지고
디지털화되면 그만큼 인구가 필요 없게 되기 때문에 인력난이 그렇게 심각하진 않을 것이고
경제는 더 발전한 사회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적자생존으로 한번은 뒤 바뀔 것입니다.
뒤쳐진 사람은 퇴화하고 미래를 본 사람은 살아남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