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중국 주희라는 인물이 맹자.논어 기타등등

보살입니다 중국 송나라때 주희가 담화내용 귀신이야기도 유용하다했답니다..주희가 당대 인정못받고 사후에 인정받은이유가멀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영화 전문가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주희(1130-1200)는 당대에는 크게 인정받지 못했지만 사후에 학문적으로 미친 영향이 큽니다. 그는 유교 경전에 새로운 철학적 체계를 도입하여 성립하였지만 이는 기존 훈고학적 유학자들에게 급진적으로 여겨졌습니다. 즉 보수적인 학문 경향과 충돌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남송 왕조 시기 당대 권력층의 이해 관계와 맞지 않아 주류로 자리잡지 못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주자는 5살 때 <효경>을 깨우친 것으로 알려진

    신동으로 아버지의 유언에 의해 평생 세 명의

    사부를 모시고 유학을 공부했습니다.

    19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일찍이 관직에 나갔으며 당시 송나라를 위협했던 금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는상소를 올리고 이를 극복해 나가기 위해서는 격물치지, 수신제가 등을 주장해 황제였던 효종의 총애를 받았어요.

    그러나 영종 즉위 후 시강으로 발탁되었으나 당시 세력가였던 한탁주의 잘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렸다가 그의 미움을 사 파직당하였고 그 이후 계속해서 탄압을 받아 불우한 말년을 보냈습니다.

    한탁주는 주자학을 위학세뿐으로 매도하였고주희의 사상과 저서들을 철저히 탄압했어요.

    그의 가르침을 받고자 모여드는 사람들 역시

    탄압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한탁주는 기어이 주희 제자들을 잡아들이기 시작했는데 수제자 채원정을 필두로 주자학파 59인을

    잡아들여 옥에 가두었어요. '경원당화라 불리는 사건입니다.

    제자들이 옥고를 치르는 것을 보면서도 주희는

    후학들을 가르치는 일에만 전념하며 1200년

    3월 9일 71세의 나이로 세상을 마감했어요.

    이후 한탁주가 죽자 그가 억압하던 주자학에 대한 탄압도 중지되었고 주희는 문공이라는 시호를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