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앞으로 어떻게 바뀌게 될까요?
환율이 1300원중반에서 움직이고 있는데요. 앞으로 하반기의 환율전망은 어떻게 보는 것이 좋을까요? 더 오를까요? 내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변화는 미국의 금리 인하에 달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미중 관세의 불확실성과 경제지표 변화에 따라 향후에도 계속해서 변동성이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경우 지금 현재 약 1380원 정도가 됩니다. 이러한 환율의 경우 미국에서의 자국의 달러의 가치에 대한 평가절하를 통해 무역에서의 수지를 흑자로 전환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토대로 한다면 앞으로 미국에서의 달러에 대한 평가절하로 인해 환율은 더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달러가 필요하시면 조금의 시간을 더 기다리 보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단기 환율 예측을 하는건 굉장히 어려운거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지금 1350원 전후로 박스권 형성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달러가 크게 강세로 갈 상황도 아니고 국내 경기 역성장인 상황에서 원화 강세도 아닌거 같거든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하반기 환율은 비슷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유는 일단 한국 경제는 계속 안 좋을 것인데 상대적으로 미국의 경제 또헌 관세 부메랑으로 인하여 결코 좋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금리인하는 결국 1~2회는 할 것이라 보고 있어서 지금처럼 간다면 환율은 계속 이와 비슷하게 유지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큰 상승이나 하락보단 변동성속에서 점진적으로 안정화되지않을까 보입니다.하지마누불확실성이 큰 시대이니만큼 예측을 벗어난 흐름도 나올수도 있을수 있습니다.연관성에 따라 잘 대응해야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은 약 1,354원으로서 전일 대비 소폭 하락한 상태네요. 미 연준 발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1,360-1,370원 사이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다고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하락할 수 있겠으나, 하반기 즈음에는 1,300원 후반대로 오를 수 있단 의견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Mitrade를 인용하면, 정치/정세 불안, 관세/무역 리스크 그리고 국내 신용등급 하락 우려 등 때문입니다. 시장 불확실성 증가 시 급등 압력이 있을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예상 환율 범위를 고려하여 환전 타이밍을 설정하고, 정치 경제 주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며, 환율 변동성 대비 환헤지 수단을 미리 준비하신다면 환 리스크에 대응하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1300원초반대까지 떨어질 수는 있으나 원화강세가 추세적으로 하반기나 내년도까지 이어지기는 힘들다고 보입니다 우선은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하스탠스로 방향이 맞춰져있다는점입니다. 즉 하반기에 금리인하가 더 이뤄지면서 미국과의 10년물 금리차이가 더 발생할것으로 보이며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은 여전히 물가도 그리 높지 않고 성장률도 한국보다 더 높은 특징을 보입니다.
이말은 환율의 핵심변수는 10년물 금리차이와 실물경제부분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 미국보다 앞선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원화강세가 추세적으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단기간 전망을 하긴 어렵지만 향후 1300원대를 유지하다가 그 이하로도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