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재산 보험

피스타치오아몬드
피스타치오아몬드

주택 화재보험은 영향 별로 없고 안오를거라더니,

저번달 상품제안서랑 이번달 상품 제안서를 보니

특히 화재손해(실손) 부분이 ,, 물론 보험사는 다르긴 하지만

지난달에는 7천 이 보험료 350원]

이번달에는 2억이 4200원 이네요;;;

이럴 수가 있나요?

7천 3배 곱해도 1150원 정도인데,, 4배 가량이 올랐네요;;

둘 다 메이저 보험사 인데,, 이렇게 4배 가량이 차이가 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주택 화재보험의 보험료 차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보험사는 위험 분석을 다르게 하며 담보 손해율이나 지역 리스크에 따라 보험료를 책정합니다. 또한 실손 담보는 실제 손해액을 기준으로 하므로 정액 보장과는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 보험료가 급격히 상승한 경우는 최근 손해율 증가로 인해 요율이 갱신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으로 여러 보험사의 견적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더 합리적인 보험료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할까?

    보험사별 위험분석 차이
    • 보험사는 각 담보별로 자체 통계 데이터를 활용해 보험료를 책정합니다.

    • 메이저 보험사라도 담보 손해율, 지역 리스크, 건축물 구조 등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 어떤 보험사는 화재 실손 담보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보험료를 높게 책정하기도 해요.

    화재실손 vs 정액보장 vs 특정손해 기준
    • 실손 담보는 실제 손해액을 기준으로 지급되며, 정액보장(예: 1건당 100만 원)과는 계산 구조가 다릅니다.

    • 일부 보험사는 ‘특정 건물 조건(예: 단독주택/상가)’일 경우 실손 담보의 보험료를 현저히 높게 책정하기도 해요.

    면책 조건 및 자기부담금 여부
    • 저렴한 보험료에는 종종 자기부담금이나 면책 사유가 붙어 있어요.

    • 반면, 고액 보험료에는 무조건 보장 구조일 수 있어 더 비쌀 수 있죠.

    요율 갱신 / 담보조정
    • 보험사들은 최근 몇 년간 손해율 증가로 인해 화재 관련 담보의 보험료를 연 단위로 조정하는 경우가 많아요.

    • 이번 달 상품은 요율이 갱신된 상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 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보험사 마다 책정 기준이 틀립니다.

    그리고 한도 7천과 한도 2억은 당연히 금액이 차이가 나는 것이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보험을 가입하시고자 하면 조건을 동일하게 해서 견적을

    받으시면 그나마 갭 차이가 덜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