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콜라에 맨토스를 넣으면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화학작용의 일종인가요?

유뷰터 영상들을 보다보면

콜라안에 맨토스를 넣으니 거품이 일어나면서 하늘로 뿜어져나오던데

콜라와 맨토스는 어떤 작용을 해서 그런 현상이 생기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하기 때문입니다.

    멘토스를 자세히 보면 작은 구멍이 있습니다.

    이 구멍이 콜라안의 이산화탕소를 빨리 풀리게 만듭니다.

    멘토스 표면에 나 있는 미세한 구멍들이 콜라안의 이산화탄소를 빨리 나오도록 도와줍니다.

    그래서 콜라에 멘토스를 넣는 것음 콜라를 흔드는 역할을 하는것입니다.

    당연한 원리지만, 콜라에 멘토스를 섞고 무진장 흔들면 그 효과는 더욱 강력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와 멘토스가 만나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작용을 핵화작용이라고 합니다. 멘토스가 용해된 탄산가스를 억제하는 액체의 표면장력 무너뜨리는 계면활성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탄산이 폭발하면서 부풀어 오르는 핵화작용을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안에 들어있는 아라비아검 성분은 콜라안의 탄산과 만나 탄산이 가스로 분출되도록 만들어줍니다. 여기서 멘토스의 다공성 구조가 표면적을 최대로 늘려주기때문에 화학반응을 폭발적으로 많이내도록 도와줍니다.

    이에따라 순간적으로 강한 에너지로 폭발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게 만듭니다.

    콜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뿜어져 나오게 되는 것인데,

    원래의 물 분자들의 표면 장력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립니다.

    그런데 멘토스가 물 분자의 결합을 방해해서 이산화탄소 거품이 펑 하고 터지는 것입니다.

    멘토스 표면의 아라비아 고무에 의해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