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색다른두더지124
색다른두더지124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거품이 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가뜸 유튜x 를 보면 콜라에 멘토스를 넣어서


거품이 생기는 영상이 있던데요.


무슨 화학물질 마냥 거품이 엄청 생기던데


원리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화학적 반응은 아닙니다. 콜라에 녹아 있던 탄산이 이산화탄소가 되어 나오는 것입니다.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에 함유되어 있는 아스파담과 칼륨 벤조에이트는 물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가 물 안에서 기포를 형성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이기포들을 포집할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할수 있는 물질이 있다면 물속에서 대형 기체덩어리를 만들수 있습니다. 기체 덩어리는 물위로 떠오르게 되고 물밖으로 나가면서 폭발하는것 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 매개 역할을 멘토스가 하는것입니다. 멘토스는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기포들을 포집할수 있게 하고 멘토스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제가 녹으면서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물과 기포사이에 존재하는 표면장력을 부셔버립니다. 하여 거대한 이산화 탄소 기체덩어리가 여러개 만들어지게 되고 이것이 대기중으로 빠져 나가면서 폭발하는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와 콜라가 만나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이유는 멘토스에 들어있는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음료의 탄산염이 반응해 순식간에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CO2)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는 물 분자간 힘을 약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멘토스를 콜라에 넣게 되면 멘토스가 물 분자간 인력을 약화시켜 물 분자에 갇힌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면서 급격하게 폭발하게 됩니다.

  •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기 때문입니다.

    콜라에서 이산화탄소가 뿜어져 나오는 것인데,

    평소에 물 분자들의 표면 장력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립니다.

    그런데 멘토스가 물 분자의 결합을 방해해서 이산화탄소 거품이 펑 하고 터지는 것입니다.

    멘토스 표면의 아라비아 고무가 영향이 있습니다.

    탄산수도 마찬가지로 폭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와 콜라가 만나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분수쇼의 원리는 간단하다. 멘토스에 들어있는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음료의 탄산염이 반응해 순식간에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CO2)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멘토스 표면에 있는 수많은 미세한 구멍이 이 반응이 빨리 일어나도록 돕는다. 미세한 구멍은 콜라 속의 이산화탄소가 기체 상태로 석출되는 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순식간에 생성된 다량의 이산화탄소는 그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플라스틱 콜라병의 좁은 주둥이로 뿜어져 나와 분수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