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06

신탁통치의 개념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입니까?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는 신탁통치에 들어갔다고 하더라고요 신탁통치 반대한 운동도 많이 일어나고 했는데 신탁통치란 어떠한 개념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6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강대국이 독립할 능력이 없는 나라를 일정 기간 동안 통치해 주는 것.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으로 ‘한국은 정부 수립 능력이 없으므로 5년간 미 · 영 · 중 · 소 4개국이 신탁 통치한다.’라는 내용을 결정하였다. 이로 인해 한반도에서는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북쪽에서는 처음에 신탁 통치 반대를 주장하다가 나중에 신탁 통치를 찬성하였다. 남쪽에서는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이 전개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탁 통치 [信託統治]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2001. 12. 10., 황병석)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제연합 감독하에 시정국(施政國:신탁통치를 행하는 국가)이 일정지역(신탁통치지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특수통치제도.

    국제연맹이 당시 독일 및 튀르키예에서 분리된 지역에 대하여 '위임통치(委任統治)'를 실시했는데 국제연합은 이를 계승·수정하여 신탁통치제도를 설치하였다. 신탁통치 지역은 종래의 위임통치지역,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패전국에서 분리된 지역, 영유국(領有國)이 자발적으로 신탁통치제도 아래에 두는 지역의 세 가지가 있다.

    통치하는 시정국은 이 제도의 기본목적에 따라 평화 증진·주민 보호·인권 존중·자치 또는 독립에의 원조를 도모해야 한다. 통치는 신탁통치이사회 및 총회에 의한 보고의 심사, 주민의 청원, 정기적 시찰 등을 통하여 감독된다. 전략지역에 대해서는 안전보장이사회가 감독한다.

    국제연합 성립 뒤 신탁통치 하에 있게 된 지역은 11개 지역(아프리카 7, 대양주 4)이었으나 차례로 독립하였고 미국의 신탁통치하에 있던 대양주 4개지역, 즉 마셜 제도·북마리아나 연방·미크로네시아 연방·벨라우(일명 팔라우) 제도 등도 미국과 협정으로 독립함으로써 현재 남아 있는 신탁통치지역은 없다. 한국은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결의로 8·15광복 직후 5년 동안의 신탁통치가 협의되었지만 한국인의 반탁운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탁통치 [Trusteeship, 信託統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탁통치는 국제 연합 감독하에 시정국인 신탁통지를 행하는 국가가 일정지역인 신탁통치 지역에 대해 실시하는 특수통치제도입니다.

    즉, 쉽게 말하면 유엔 감독하에 자격을 갖춘 국가가 일정한 지역을 통치하는 제도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스크바 3상회의를 통해 38선을 기점으로 남한은 미군이 북한은 소련군이 진주하여 신탁통치를 실시한다고 결정합니다. 우리 국민의 의사와는 전혀 상관없이 강대국들의 이익을 위해 실시한 것입니다.미국 영국 소련 등 강대국들은 한국민들이 오랜 식민통치로 인하여 스스로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는 자의적 판단으로 미국과 소련 양국에 의한 일정기간 통치를 받아야 한다고 한 것이 신탁통치입니다. 남북한에서는 당연히 반탁운동이 전개되었으나 북한이 찬탁으로 돌아서면서 신탁통치가 이뤄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탁통치 (naver.com)

    요약하면 국제연합 감독하에 시정국(施政國:신탁통치를 행하는 국가)이 일정지역(신탁통치지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특수통치제도 라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탁통치( / Trusteeship)란 U.N의 신탁을 받은 국가가 유엔 총회 및 신탁 통치 이사회의 감독을 받아 일정한 지역이 자체 통치 능력을 갖출 때까지 대신 통치해 주는 제도로, 유엔 헌장 제12장, 제13장에 규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1945년 12월 모슼바 3상회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도 일어 납니다. 1946년의 남한 지역은 찬탁과 반탁 진영 사이의 갈등으로 매우 혼란스러웠습니다. 김구의 임정 세력은 신탁통치 반대운동(이하 '반탁운동')을 '제2의 독립운동'으로 간주하고 국민 총동 원령을 내렸는데, 이는 반탁 운동을 통해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에 의한 것이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