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시비를 거는 아이, 어떤 상황에서 접근해야 할까요?
초등학교 5학년 남자아이입니다.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시비를 걸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갈등 상황에 대해 아이와 함께 이야기하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친구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습시키고, 긍정적인 갈등 해결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시비를 거는 이유는
현재 자기가 무엇을 잘못을 하고 있는지 이에 대한 인지력이 부족하기 때문이고
자신의 의견만 중요시 하는 생각과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싸움을 해결 하려고 하긴 보다는 시비를 걸면서 자기의 의견이 옳다 라는 것을 주장하고 싶기 때문에 싸움이 해결되지 않는 것입니다.
아이가 싸움을 하는 내내 싸움을 해결 하려고 하긴 보다는 계속 시비를 건다면 아이의 싸움을 제지 시키고 아이를 친구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데려가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친구에게 시비를 걸며 싸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더나아가 친구와 싸우게 되면 내가 잘못한 부분을 인지하고, 내 잘못을 반성한 후 친구에게 사과를 먼저 하는 태도가 가장 멋진 자세 라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시비를 거는 건 당장 기분이 나아질 수는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관계 개선 그리고 본인의 감정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설령 그 친구와 멀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갈등을 계속 끌고 가며 원만하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보다는 이야기를 나누어 갈등을 해결하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보다는 필요한 수준의 조언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친구와의 갈등에서 시비를 거는 행동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스트레스나 불안감이 쌓여 있거나, 사회적 기술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시비를 거는 상황에서는, 감정 조절과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부정적인 행동(시비를 거는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지만 공정하게 피드백을 줘야 합니다.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돕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결과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인식시켜야 합니다. 아이에게 갈등 해결의 방법을 가르치고, 감정을 조절하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비를 거는 행동은 종종 감정 조절이나 사회적 기술의 부족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기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 상대방을 이해하는 태도, 긍정적인 소통 방법을 아이에게 가르쳐주세요. 일관된 피드백과 격려를 통해, 아이는 갈등 상황을 보다 성숙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것입니다. 친구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시비를 거는 아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접근을 해보시면 좋죠.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갈등 상황에서 다른 행동ㅡㄹ 제해 보세요. 대활르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잠시 거리를 두기 등을 제안할 수 ㅣㅇㅆ습니다. 아이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 칭찬해 주세요. 작은 성공도 인정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편안한 환경에서 대화를 나누어 보세요.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에서 느끼는 감정이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게 하여 그 원인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친구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시비를 건다면 아이와 대화를 통해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을 해주시며 배려심을 갖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