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때 왜군의 육군 조선수군의 지점을 장악을 못했을까요?
항상 이순신에 관련된 책과 영상물을 보면 궁금한 것이 있더라고요
당연히 이순신이 엄청난 책략으로 수군전에 대승을 이룬것은 알겠습니다
수군도 주요 거점은 육상에 있을텐데
그런 수군을 장악할려면 육군을 이용해 거점을 치는게 낫지 않았을까요
이순신이 거점을 두고 수군전에 집중할 수 있었던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순신의 수군전략은 단순히 수군과 육군의 결합이 아니라, 수군전에서 육상거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상거점을 이용해 적군의 수군을 공격하는 전략이었습니다. 이는 당시 대한민국의 해안선이 길지 않고, 지형이 산과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서 수군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또한 이순신은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았던 당시 혁신적인 해전 전술과 무기를 사용해 전략적인 승리를 이루었습니다. 이렇게 수군전에서 두드러진 전략적인 장점을 활용한 것이 이순신의 승리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은 육군과 함께 해군도 동원하여 전국적으로 침략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이때 이순신은 일본의 수군 침입을 막기 위해 거점 방어를 중요시하였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이순신은 수군 거점 방어를 통해 일본의 수군 침입을 막으려고 했습니다. 거점 방어를 함으로써 일본의 수군 침입을 막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일본의 해상 군사력을 제약하고, 수군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었습니다.
둘째, 이순신은 육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는 수군 거점 방어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육군은 정밀한 전술과 함께 고도의 지형학적 이점을 활용하여 적에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군 거점 방어가 필수적이었습니다.
셋째, 이순신은 수군 거점 방어를 통해 수군을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수군 거점 방어를 통해 일본의 수군 침입을 막고, 수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순신은 수군을 집중하여 일본의 수군을 공격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순신은 수군 거점 방어를 중요시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일본의 해상 침략을 막고, 수군을 안전하게 보호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왜군도 여러번 시도를 합니다. 그래서 육군과 같이 조선수군을 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이치전투에서 황진 장군에게 막히고 도원수 권율장군에게 차단 당하면서 전라도 지역에 있던 이순신 수군본영을 공격하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