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3.25

어두운 곳에 갑자기 들어가면 안보이다가 적응되면 보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면 아예 아무것도 안보입니다.

하지만 좀 더 어둠에 적응되면 눈에 어둠이 익으면서 보이는데요.

어떤 원리로 이렇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눈의 망막 내의 시각적 염색체들이 더 많은 양의 로돌핀을 생성합니다. 이는 시야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고, 시각적 신경에서 뇌로 전송되어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빛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눈의 망막 내 시각적 염색체들이 로돌핀을 더 많이 생성하여 시각적 민감도를 높이게 됩니다. 이러한 적응으로 눈은 어둠 속에서 보다 잘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밝은 곳으로 갈 때는 다시 눈이 적응해야 하므로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습니다.



  • 어두운 곳에 갑자기 들어가면 눈의 망막에 있는 간단한 빛 감지기인 막대세포와 원추세포가 작동하여 시야가 어두워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막대세포와 원추세포가 더 많은 로도필을 생성해 더 많은 빛을 감지하도록 적응됩니다. 이러한 적응은 '안색적응'이라고 하며, 눈의 망막의 감지기들이 어둡고 밝은 환경에 노출될 때 적응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적응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눈에는 밝은 곳을 볼 때와 어두운 곳을 볼 때, 각각에 대해서 동공의 조절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급격한 변화에는 이 조절을 하기 위한 약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광량이 많으면 동공괄약근이 작용해서 동공을 축소시키고, 반대로 광량이 적으면 동공산대근이 작용해서 동공이 확대되어 망막에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오면 잘 안보이는 것은 이 동공산대근과 동공괄약근이 각각에 대응하기까지의 얼마 안되는 시간 내에 일어나는 현상이죠.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는 평소에 빛이 충분하기 때문에 동공이 축소 되어있는데요. 어두운곳에 가면 빛이 충분하지 않기때문에 동공이 확장되어야 잘보입니다. 그래서 밝은 곳에서 어두운곳으로 가면 동공이 확장되는 시간이 필요해서 바로 잘보이는 것이 아니라 조금 시간이 흐른뒤에 잘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어두운 곳과 밝은 곳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밝은 곳에서는 많은 양의 빛이 눈에 들어와 시신경이 많은 정보를 처리하게 됩니다.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빛이 부족하기 때문에 눈은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방법을 조정합니다.

    눈이 어두운 곳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시신경이 빛을 인식하기 위한 화학물질인 로도필을 생성해야 합니다. 처음 어두운 곳에 들어갔을 때는 시신경에서 로도필의 생성이 충분하지 않아서 눈이 적응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시신경에서 로도필을 더 많이 생성하게 되어 눈이 적응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로도필 생성 과정은 일종의 신경전달물질인 멜라토닌에 의해 조절됩니다. 어두운 환경에서 시신경이 빛을 감지하면 멜라토닌의 생성이 촉진되어 로도필 생성을 촉진하게 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로도필은 빛을 인식하고, 시신경이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시신경은 더 많은 로도필을 생성하고, 이로 인해 눈이 어둠에 적응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눈은 빛의 양에 따라 적응하여 더 나은 시각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두운 곳에 갑자기 들어가면 처음에는 시력이 나쁘게 느껴지는데, 이는 눈동자와 망막이 어두운 환경에 적응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눈동자는 어두운 곳에서 더 크게 열리게 되며, 이는 망막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눈동자가 열리더라도, 망막에 들어오는 빛이 부족하여 이미지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조금 지나면 눈동자와 망막이 어두운 환경에 적응되어 더 많은 빛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때 눈동자의 크기가 작아지며, 이는 망막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조절되어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렇게 눈동자와 망막이 적응되면 더 많은 빛을 받아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시력이 좋아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눈의 적응 메커니즘은 어두운 곳에서 빛이 없는 상황에서도 시력을 유지하고, 밝은 곳으로 이동할 때에도 눈이 적응되어 과도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눈은 동공을 통해서 빛을 받아들입니다.

    일정량의 빛을 받아야하는데. 밝은데 있다가 어두운곳으로가면 빛의 양이 부족하여 잘보이지 않다가

    잠시후 동공이 커지며 빛의 양을 많이 받아들여 볼 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밝은곳에 있을때는 빛이 충분하기때문에 동공이 축소가 되어있습니다.

    동공 축소되어 있을때 어두운곳으로 가게되면 축소된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부족해서 순간적으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동공이 확장될때까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적응하여 주변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어두운 곳에 갑자기 들어가면 눈의 망막에 있는 간단세포가 빛을 감지해 시각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합니다. 이 망막의 간단세포에는 스타킹세포와 사경세포가 있으며, 스타킹세포는 빛의 양과 위치를 감지하고, 사경세포는 빛의 색을 감지합니다.

    어두운 환경에서는 스타킹세포가 빛을 잘 감지할 수 있도록 눈의 동공이 커지고, 사경세포는 비교적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밝은 곳에서는 눈의 동공이 작아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눈의 동공이 커지는데, 이는 빛을 눈의 후면에 있는 망막의 간단세포에 모으기 위한 작용입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 들어갔을 때는 처음에는 눈이 적응하지 않아 물체가 잘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 눈의 망막에 있는 간단세포들이 더 많은 빛을 수신하도록 조정되어 물체를 더 잘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어둡거나 밝은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5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두운 곳에 갑자기 들어가면, 눈의 망막에 있는 빛 감지 세포인 망막 간상피세포가 자극을 받아 시각신경을 통해 뇌로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이때 망막 간상피세포가 받은 자극은 축색체라는 시각 염료로 변환되어 시각신경으로 전달됩니다.

    그러나 어두운 곳에서 처음에는 축색체의 양이 적어 망막 간상피세포의 자극 전달이 부족하여 시각신경으로 전달되는 신호가 약해집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뇌에서 전달되는 시각 정보가 부족해 시야가 흐릿하거나 아예 안 보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망막 간상피세포에서 축색체가 생산되고 시각신경으로 전달되는 신호의 세기가 강해지기 때문에 뇌에서 인식하는 시야가 점점 밝아지게 됩니다. 이를 적응이라고 하며, 시각 감각에 적응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