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차근이
차근이24.04.14

밤에 어두운곳에서 안보이다가 보이는 현상?

밤에 어두운곳에서 안보이다가 보이는 현상에 대해서 궁금해요

처음에는 어두워서 안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보이잖아요..그러다가 잘보이고

정말 신기한거 같은데 어떤이유에서 그런지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에 어두운 곳에서 처음에는 잘 보이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 잘 보이게 되는 현상은 우리 눈의 '암순응’이라는 과정 때문입니다.

    우리 눈에는 빛을 감지하는 세포인 '광수용체’가 있습니다. 이 광수용체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망막의 바깥쪽에 있는 '막대세포’와 안쪽에 있는 '원추세포’로 구분되며, 막대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잘 작동하고, 원추세포는 밝은 곳에서 잘 작동합니다.

    어두운 곳에 가면 막대세포가 활성화되어 빛을 감지하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막대세포가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막대세포가 더 많은 빛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에는 어둠에서도 잘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어두시각’ 또는 '어둡게 적응’이라고도 불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눈의 동공은 사진기의 조리개와 같아서 동공의 크기가 조절되어 빛을 받아들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어두운곳이나 밝은곳에 나갔을때 약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밝은 곳에 있다가 갑자기 어두운 곳으로 가면 홍채에서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적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후 홍채가 넓어지며 충분한 양의 빛을 받아들이면서 조금씩 사물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런 현상을 암적응이라고 합니다.

    혹시 잉런 경우가 생길 것 같으면 미리 한쪽 눈을 감고 있다가 어두운 곳에 들어가서 눈을 반대로 뜨면 좀 더 빨리 적응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미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에는 밝은 곳을 볼 때와 어두운 곳을 볼 때, 각각에 대해서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급격한 변화에는 이 조절을 하기 위한 약간의 시간을 요하기 때문입니다.

    동공을 확대, 축소시키는 것은, 눈에 들어오는 광량이 많으면 동공괄약근(부교감신경 지배)이 작용해서 동공을 축소시키고, 반대로 광량이 적으면 동공산대근(교감신경 지배)이 작용해서 동공이 확대되어 망막에 이르는 광량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오면 잘 안보이는 것은 이 동공산대근과 동공괄약근이 각각에 대응하기까지의 얼마 안되는 시간 내에 일어나는 현상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에 어두운 곳에서 보이는 현상은 시각 적응이라고 하며, 이는 눈이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발생합니다. 시각 적응에는 초기 적응과 후기 적응이라는 두 가지 주요 과정이 있습니다. 초기 적응은 눈동자가 확장되어 더 많은 빛이 들어오도록 하는 과정으로, 보통 몇 분 정도 소요됩니다. 후기 적응은 망막 속 간상세포의 민감도가 증가하여 더 적은 빛으로도 물체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과정입니다


  • 1. 어두운 곳에서 처음에는 보이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는 것을 암순응이라고 합니다. 암순응은 눈의 시세포가 빛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어두운 곳에서는 빛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세포가 빛을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세포가 빛에 적응하여 빛을 감지할 수 있게 됩니다.

    2. 어두운 곳에서는 빛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빛의 양이 조금씩 증가하면 물체가 조금씩 보이기 시작합니다.

    3.어두운 곳에서는 눈의 초점이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물체가 흐리게 보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눈의 초점이 조금씩 맞춰지면서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4. 어두운 곳에서는 시야의 범위가 좁기 때문에 처음에는 물체가 일부분만 보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야의 범위가 조금씩 넓어지면서 물체가 전체적으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밤에 어두운 곳에서 처음에는 보이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