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청초한호박벌293
청초한호박벌29322.04.29

왼쪽 가슴이 콕콕 아픕니다..

나이
2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일주일 전에 왼쪽 가슴이 간헐적으로 콕콕 찌르는 느낌이 있었고, 가슴이 좀 답답해서 혹시 몰라 심전도 검사, 심장초음파 검사를 했고 정상이었습니다. 그 이후로는 통증이 없었구요..

그런데 어제 밤부터 갑자기 왼쪽 가슴이 갑자기 또 콕콕 찌르더니 지금까지 계속 아프네요ㅠㅠ 간헐적으로 그러는게 아니라 계속 찌르는 듯이 아픕니다. 정확한 부위는 왼쪽 젖꼭지 윗 부분과 주변 부분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라는 말들도 있지만 저는 작열감이나 신물 등의 증상은 없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말씀하시는 증상만으로는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원인이나 특정한 질환을 의심하기 어렵습니다. 심전도 검사 및 심장 초음파를 통해서 모든 심장 질환을 감별할 수는 없는 만큼 24시간 홀터 검사나 트레드밀 검사 등 추가적인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어 최대한 원인을 찾아보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가슴 통증에 대해 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은 늑연골염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늑골 역시 주변이 신경이 존재하며 운동을 무리하게 하거나 피곤한 경우에도

    늑골 주변에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며 콕콕 찌르는 듯한 증상을 보이지만 검사에서

    특이 이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염진통제로도 호전을 보이게 되지만

    자주 재발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갈비뼈 부위 통증이 있다면 늑골연골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늑골연골염은 주로 갈비뼈사이 근육의 염좌 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흉통 원인 중 상당수를 차지합니다. 혹은 외상으로 인한 갈비뼈 골절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전형적인 협심증의 흉통은 명치 혹은 왼쪽 가슴 부위가 묵직하거나 쥐어짜는 양상의 통증으로 15분 정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운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턱, 팔, 혹은 어깨 쪽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동반되거나 호흡곤란, 심계항진, 식은땀이 날 수도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명치 부위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위산억제제를 복용시에 좋은 반응을 보입니다. 흉통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호소시마다 검사를 해보는 것이 원칙이므로 증상이 지속되면 내원하시어 재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왼쪽 가슴 통증은 다양한 원인들이 존재합니다. 심장, 폐, 위식도 등 다양한 장기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통증이 있다고 이런것들을 감별해내기가 쉽지않습니다. 가까운 내과 방문하셔서 기본적인 검사, 신체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검사결과에서 심장에 이상이 없다면 상기 증상은 증상이 있는 부위의 외상이나 염좌를 의심할 수 있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흉통은 협심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으로 발생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수 있기에 내과에서 먼저 감별하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흉통을 일으킬수 있는 원인은 심혈관계 질환 이외에도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위장관계 질환이나 폐렴, 늑골 손상, 늑골 주위 조직의 염증, 주변 근육의 과긴장이나 손상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이 아니라면 정형외과, 신경외과, 통증의학과에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감별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여성분이라면 유방외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도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계속하여 왼쪽 가슴이 아픈 느낌이 있어 문의 주셨습니다.

    해당 부분의 경우 단순히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우선 증상이 지속된다면 가까운 병의원 내원하여서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적절한 신체진찰과 필요시 영상검사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참 애매합니다. 이미 심장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면 심장문제는 아닙니다. 나머지는 폐나 식도, 근육통, 유방 질환을 확인해 봐야 하지요. 유방 검사도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심전도 검사는 증상이 호전된 상태로 검사를 하면 음성으로 나오기때문에 다시 검사를 해보시는게 맞겠습니다. 일단 흉통이 있으면 심장을 원인으로 생각하고 검사하는게 맞겠습니다. 심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협심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협심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등이 위험 인자입니다.

    그 외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등이 가능한 위험 인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일단 협심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무거운 돌로 가슴을 누르는 것 같고, 심장이 조이는 것 같습니다.

    운동 중일 때,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극심한 스트레스를받았을 때,

    부부관계를 할 때, 심장근육이 빨리 뛸 때 잘 생깁니다.

    치료법

    동맥경화증 위험요소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생활습관 치료가 첫 번째입니다.

    절대적인 금연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고혈압 당뇨병은 약물이나 운동으로 반드시 조절해야 합니다.

    두 번째가 병원에서 처방해 주는 항협심증 약물입니다.

    니트로글리세린 알약이나 스프레이제제를 반드시 휴대해야 합니다.

    좁아진 관상동맥 부위를 풍선으로 확장시킨뒤 그물망을 삽입하는 스텐트 시술이 있고,

    풍선확장술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대동맥과 관상동맥을 이어주는 관상동맥 우회술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