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경제에서 글래스스티걸법은 어떤 경우에 적용되는지요?

글래스 스티걸법이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업무를 분리시키는 내용의 법을 제정하는데 예금자와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세계 최초의 금융규제법이라는데 어떤 경우에 이 법이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
      전중진 경제전문가
      한울발달상담센터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의 핵심 내용은 상업은행은 여·수신 업무만 하고, 투자은행은 증권 업무만 하도록 업무를 분리하여 상업은행이 고객의 예금으로 주식 투자를 할 수 없도록 만든 것입니다만 현재는 폐지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래스스티법이라고 하는 것은 은행개혁과 투기규제를 목적으로 제정한 법을 말하는데, 이 법의 핵심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엄격하게 분리하는 것을 말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분리는 증권회사나 투자은행이 예금을 수취하는 것을 막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 소속 상업은행들이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하는 것을 금하고 있는데 1. 고객을 위해 비정부 주식의 취급 하는 경우 2. 자신들 스스로 비투자등급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 3. 비정부 주식의 인수나 유통하는 경우 4. 이와 같은 업무와 관련된 회사들과의 제휴(혹은 직원공유) 하는 경우 등에 해당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이란 미국이 은행들로 하여금 상업은행이나 투자은행 업무 중 하나만 할 수 있도록 한 법을 의미합니다.

      이는 은행을 예금을 받는 은행인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으로 나누어서 상업은행의 파산 등에도 예금을 세금으로 일부 보호하는 대신 투자은행처럼 다양한 채권·주식 등 금융상품을 자유롭게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직접 투자할 수 없게 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33년 미국에서 은행개혁과 투기규제를 목적으로 제정한 법으로, 핵심 내용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엄격하게 분리하는 것이다. 1999년 폐지되었다. 1929년 발생한 주가폭락과 그에 이은 대공황의 원인 중 하나가 상업은행이 고객의 자산을 이용하여 일삼은 무분별한 투기 행위였다는 판단에서 ‘은행개혁’과 ‘투기규제’를 목적으로 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의 핵심 내용은 상업은행은 여·수신 업무만 하고, 투자은행은 증권 업무만 하도록 업무를 분리하여 상업은행이 고객의 예금으로 주식 투자를 할 수 없도록 만든 것이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은 1933년 미국에서 제정된 법률로, 은행과 증권회사의 업무 영역을 분리하고, 은행의 과도한 위험 투자를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은 1999년 폐지되었지만, 현재도 금융기관의 과도한 위험 투자를 규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은 은행과 증권회사의 업무 영역을 분리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합니다. 은행은 예금을 받고, 대출을 하는 금융기관입니다. 반면, 증권회사는 주식, 채권, 옵션 등을 거래하는 금융기관입니다. 글래스스티걸법은 은행과 증권회사가 서로 다른 업무 영역에서 활동하도록 하여, 은행이 과도한 위험 투자를 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글래스-스티걸법은1933년제 제정된 법으로 대공황의 산물이었다고 합니다.

      이 법은 은행들이 증권업무를 겸업하면서 거대해졌기에

      이를 막기 위해서 상업은행과 투자 은행을 분리시키자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기관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업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며, 상업은행은 예금을 받고 대출을 하며, 투자은행은 주식 발행과 증권 거래 등을 담당하며 상업은행은 예금자의 예금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며, 예금자 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예금자의 손실을 최소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