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남생이120
조용한남생이12023.03.09

입춘은 예전에 어떤 과학적 원리로 정한 것인가요?

지금은 입춘이어도 날씨가 추워서 전혀 봄같은 느낌이 안들던데 예전에 입춘은 어떤 과학적인 원리의 기준으로 입춘을 정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봄의 시작이라고도 알려진 입춘은 전통적인 동아시아 태음력 달력의 24절기 중 하나입니다. 태양이 천경 315도에 도달하는 봄철의 시작을 알립니다.

    과학적 원리로 보면 입춘은 하늘에서 태양의 위치라는 천문 현상에 의해 결정된다. 하늘에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산되는 태양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함에 따라 하늘에서 태양의 위치가 변하고 이 변화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절기를 결정합니다. 봄의 시작 또는 입춘은 많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가장 중요한 절기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춘은 한국의 전통적인 24절기 중 하나로, 춘분(春分)과 추분(秋分)과 함께 봄철의 시작을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과학적으로는, 입춘은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기인합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하루 24시간 동안 자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의 자전축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약 26,000년 주기로 서서히 움직입니다. 이렇게 자전축이 이동하면서, 지구가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1년 동안 24절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입춘은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지구의 공전 위치가 태양의 황경(黃經) 315도를 지나는 시점으로 정해집니다. 이때, 태양은 영점(春分점)을 지나며, 북위 0도와 남위 0도의 경계선을 가리키는 적도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기에는 태양의 진입각이 최저점에 이르게 되므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춘분'이라 불리는 절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춘은 한국의 24절기 중 하나로, 햇빛이 남쪽방향에서 북쪽 방향으로 옮겨가는 때를 말합니다. 입춘은 보통 2월 3일~5일경에 찾아오며, 계절의 변화와 농사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날로 여겨집니다.

    입춘의 기준은 천문학적인 현상으로, 지구의 공전운동과 자전에 의해 태양이 적도를 지나 올라가는 시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국의 입춘 기준은 일출시 보이는 산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일출시 산의 모습이 60도에서 15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룰 때 입춘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이 때 산들의 위치는 24절기 중 하나인 대서(大雪)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춘의 시점을 정하는 이유는, 농사일정 등과 같은 사항들을 예측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입춘 이후에는 봄철이 찾아오므로, 농사 일정이나 명절 준비 등에 필요한 시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24절기의 기준은 고대 중국에서 발전된 전통 지식으로, 중국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9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춘은 중국의 24절기 중 하나로, 양력 기준으로 매년 2월 3일~5일경에 찾아옵니다. 입춘이란 말은, "춘분(春分)" 이라고도 하며,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봄철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과학적으로 보면, 입춘은 양파수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양파수란 지구의 자전축과 극축을 이루는 가상의 선입니다. 이 선은 지구의 공전에 따라 태양의 위치와 함께 움직입니다.

    입춘은, 태양이 양파수를 지나가는 순간으로 정해집니다. 이때 태양은, 천경(天經)의 규정에 따라 물병자리(水瓶座) 30도에서, 혹은 동경300도에서 330도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렇게 입춘이 결정되는 과정은, 중국의 선조들이 수 천년간 관측하며 쌓아온 경험적인 지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러한 관측은, 중국의 전통 천문학의 한 분야인 '지지(至旨)' 에서 연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춘은 태양의 황경이 315도를 이루는순간으로 정의하였고, 양력으로 2월3일또는 2월4일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춘은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춘분과 함께 봄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입춘은 태양의 경도가 315도일 때로 정해져 있습니다. 태양의 경도는 태양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동안의 위치를 의미하며, 봄 북반구의 시작을 나타내는 입춘의 경우에는 태양의 진입점이 북위 315도인 지점을 지날 때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입춘의 시기는 날씨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는 매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입춘의 시기는 태양의 위치뿐만 아니라 지구의 자전축의 기울기, 태양과 지구의 거리, 지구의 자전 속도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