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14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소설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는 많은 유명작가들과 소설들이 존재하는데요.

저 또한 소설책을 즐겨읽는데요. 이중에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소설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소설은 무엇일까요? 소설가로 유명한 이광수씨의 [무정]이라는 소설이 우리나라의 첫 근대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1925년에 발표된 소설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장편소설의 대표작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신교육과 자유연애로 대표되는 근대화의 의지나 계몽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민족주의사상을 바탕으로 한 근대문명에 대한 동경, 기독교적 신앙, 자유연애와 결혼 등, 결국 일체의 봉건적인 것에 대한 비판과 반항으로 새 시대의 계몽을 추구하는 이상주의적인 소설로 평가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광수의 「무정」: 이광수의 장편「무정」은 1910년대를 대표하는 근대소설의 한 표본으로, 국권 상실 이후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계몽주의적 성격이 강한 소설입니다. 이 소설에서 이광수는 언문일치의 문장을 이룩했으며, 이점에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소설이라는 문학사적 의의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소설인 이광수 작가의 「무정」입니다.


    무정은 인물들의 묘사적 특성과 이에 따른 합리적 전개(합리적 인과론)라는 근대 소설 기법을 수용해 최초의 근대소설이라 평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소설은 춘원 이광수의 「무정」입니다. 이 작품은 1917년 1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매일신보> 1면에 총 126회에 걸쳐 연재된 작품인데 서양과 일본의 대중소설을 원작으로 한 번안작품들이 장편소설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1910년대 현실에서, ‘경성’과 평양을 배경으로 당시 청년 학생들의 꿈과 이상을 다룬 무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창작 장편소설로 한국 근대 소설사를 대표하는 기념비적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1938년까지 여덟 판을 거듭한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스테디 셀러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7년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그 표현형태나 내용으로 볼 때 최초의 소설로서 평가된다. 낡았지만 위력을 지닌 구 도덕과 새로운 도덕관의 마찰현상을 보여주는 가운데, 이전의 신소설 등에서 관념적으로 제기되었던 새로운 윤리관이나 애정관의 모색과 개인주의의 확장 및 인도주의적인 민족애와 새로운 문명에의 열망을 결구력 있게 형상화하고 있다. 물론, 신소설 등이 지니고 있는 교훈주의적인 문학관이 전연 배제된 것은 아니지만, 개인이 사회변화의 구조 속에서 어떻게 사회화하며, 개성적인 자아와 의식의 독립화에 눈떠 가는가를 구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신소설의 관념적인 면과 문학적인 미숙성을 극복하여 소설의 면모를 일신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무정」의 문학사적인 의의는 자못 큰 것이다.


    이야기는 주인공인 이형식과 박영채의 기구한 사랑과 운명을 다룬 것이다. 영채를 통하여 부권적인 유교윤리에 절대 순종해야 하는 여인의 희생과 그로부터의 개체적인 자각을 다루고 있으며, 이형식을 통하여 감정구조의 이중성을 보이면서도 낡은 의식으로부터의 탈피와 새로운 가치관의 정립을 제시하고 있다. 이광수는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최남선(崔南善)과 함께 우리 나라 현대문학 초기의 선구적인 개척자이다. 그의 작품으로는 단편 「소년의비애」 · 「어린벗에게」를 비롯하여 장편 「어린 희생」 · 「무정」 · 「마의태자」 · 「단종애사」 · 「흙」 · 「유정(有情)」 · 「그 여자의 일생」 등과 그 밖에 많은 작품과 수필 · 논설 등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