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통쾌한염소152
통쾌한염소15221.11.01

무지외반증 수술하는게 좋을까요

무지 외반증 때문애 걷는 스포츠 관련 해서 1시간 이상 운동 할 수 가 없습니다 젊어서 힐을 많이 신어서 인지 집안내력인지 아빠와 언니도 고생 하고 수술 했습니다

저는에제 꽉끼는 예쁜 구두는 신울 수가 없습니다 발에 통증이 심하게 오거든요 운동화도 느슨하게 신어야 발이 편하고요 임시방편으로 교정기를 가끔 집에서 착용 하기도 합니다 교정기가 효과가 있을까요? 아니면 꼭 수술을 해야 하나요. 저는 수술한 지인이 주변에 계시는데 만류 하더라고요 너무 아프고 일년 동안 힘들었다고 하는데 .. 평상시에도 가끔 통증이 있긴한데 교정기. 착용이 도움이 될른지 꼭 수술해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져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증상이 심할 경우,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과 엇갈리는 정도까지 돌아가기도 합니다. 특히 앞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여성에게 잘 발생하는 족부 질환입니다.

    무지외반증의 발생에는 유전적 소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유전적으로 평발이거나 발 볼이 넓은 경우, 무지외반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후천적으로 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 무지외반증에 걸릴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무지외반증의 치료는 환자가 느끼는 증상, 변형의 심각성, 치료의 목적(염증과 통증의 조절인지, 미용적 문제까지 해결하는 것인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지외반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증상을 조절하고 변형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볼이 넓고 부드러운 신발을 착용하거나, 교정을 위한 깔창이나 보형물을 사용합니다. 심한 변형이 동반된 경우, 수술을 통해 교정해야 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져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증상이 심할 경우,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과 엇갈리는 정도까지 돌아가기도 합니다. 특히 앞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여성에게 잘 발생하는 족부 질환입니다.

    무지외반증의 발생에는 유전적 소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유전적으로 평발이거나 발 볼이 넓은 경우, 무지외반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후천적으로 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 무지외반증에 걸릴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무지외반증의 증상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어지고 관절이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입니다. 돌출된 관절은 서 있거나 걸을 때 자극을 받아 빨개지고, 이에 따라 굳은살, 염증, 통증이 발생합니다. 걸을 때 신체를 지지하고 추진력을 주어야 하는 엄지발가락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의 다른 부위에도 통증이 발생합니다. 무지외반증이 심해지면 발 모양 변형, 허리 통증 등이 나타납니다.

    무지외반증은 시진과 촉진(발가락 모양, 굳은살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무지외반증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뼈와 뼈가 이루는 각도, 관절의 변형과 염증, 운동 범위 등을 측정합니다.

    무지반증의 치료는 환자가 느끼는 증상, 변형의 심각성, 치료의 목적(염증과 통증의 조절인지, 미용적 문제까지 해결하는 것인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지외반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증상을 조절하고 변형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볼이 넓고 부드러운 신발을 착용하거나, 교정을 위한 깔창이나 보형물을 사용합니다. 심한 변형이 동반된 경우, 수술을 통해 교정해야 합니다. 수술을 통해 돌출 부위의 뼈를 깎고 인대와 연부 조직의 길이를 조절합니다.

    무지외반증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은 채 좁고 높은 힐이나 발에 맞지 않은 신발을 계속 신고 다니는 경우, 엄지발가락의 변형만이 아니라 관절의 염증, 다른 발가락과 발 부위의 통증 및 변형, 허리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은 구두, 꽉끼는 신발을 착용할경우 지속적으로 진행할수 있습니다.

    수술을 해야 원하는 모양으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수술을 하지 않으면 진행을 막는 정도의 치료법밖에 없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01

    무지외반증은 질병이라고 생각하기는 어렵고 일반적인 신발이 발의 모양과 다르기 떄문에 생기는 불편한 증상입니다. 수술로 교정을 하는데도 제한이 있기 때문에 운동화등 편한신발을 신고 압박을 줄이는 습관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수술을 결정하셨다면 정형외과 진료 후 수술후에 적절한 재활을 충분히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질문자님께서 수술을 할지 여부는 솔직히 말씀 드리면 결국 본인이 선택하셔야 합니다. 무지외반증 같은 골격계 변형은 솔직히 교정기 등의 비침습적인 방법으로는 제대로 교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정을 시도해보려면 수술을 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다만 주변의 지인분이 이야기 하신 것처럼 수술 후에도 통증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해야 한다라고 말씀드릴 수도 없습니다. 스스로 결정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은 외형적 변형만으로 진단할 수 있지만 전문의의 진찰 및 방사선 촬영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돌출 부위를 자극하지 않는 가장 편한 신발을 신는게 보존적 치료입니다. 일반적으로 발가락 쪽이 넓고 굽이 낮은 신발이 추천되며 운동화를 신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엄지 발가락의 돌출 부위 및 두 번째 세 번째 발가락 아래가 자극되지 않도록 신발 안에 교정 안창을 넣기도 합니다. 수술적인 치료는 실제 뼈의 모습 및 환자의 증상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증상이 현재 심하다면 진료를 본 후 수술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