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08

무지외반증 수술 후 보조기를 착용하라고 하는데 꼭 신어야 할까요?

오른쪽 엄지발가락 무지외반증이 심해서 수술을 받았는데 병원에서 무지외반증용 신발을 구입하라고 하네요~ 보조기처럼 착용하는건가봅니다. 수술을 이미 받은상태인데 꼭 착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강성주 정형외과 전문의blue-check
    강성주 정형외과 전문의21.09.09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성주 정형외과 전문의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으로 인해 고생을 많이 하셨을 것 같습니다.

    무지외반증 수술을 하셨다면 아마도 절골술을 시행하신 후 뼈를 고정하여 놓으셨을 겁니다.

    절골술한 자리는 최소 6주 이상은 지나야 뼈가 붙어가기 때문에 그 안에는 푹신한 신발 보다는 바닥이 딱딱하여 걸을 때 발 앞쪽까지 충격이 전해지지 않는 무지외반증용 신발의 착용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뼈가 이미 붙은 상태에서는 착용을 안하셔도 되겠지만 수술 후 얼마의 시간이 지나지 않으셨다면 무지외반증 신발을 착용하시는 것을 질병의 치유를 위해 더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술을 이미 시행 받았더라도 수술 후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전체적인 결과가 변화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보조기 착용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무지외반증 수술 후 확실하게 치료를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 발가락이 새끼 발가락쪽으로 기울어져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보통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나타납니다.

    선천적 요인 - 원위 중족 관절면 각이 과다한 경우, 평발과 넓적한 발, 원발성 중족골 내전증, 과도하게 유연한 발

    후천적 요인 - 신발코가 좁은 신발, 하이힐 등

    치료는

    환자의 불편함 정도와 의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결정하는 것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불편함의 정도이며 아무리 변형이 심하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대부분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며 환자의 나이, 변형의 심한 정도, 환자가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방법을 결정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내 하지 않으면 다시 돌아갈 수 있스빈다.

    제 답이 굼긍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이기에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도 같이 참고하시고요.

    현명한 결정 하사길 기원드립니다.

    몸 건강 하시고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려주신 정보는 제한적으로 연속적인 검사 결과와 임상증상을 종합하여 처방을 내리게 됩니다. 주치의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검사결과에 대한 해석을 받으시고 치료방향을 정하시는 것을 권유드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져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증상이 심할 경우,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과 엇갈리는 정도까지 돌아가기도 합니다. 특히 앞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여성에게 잘 발생하는 족부 질환입니다.

    무지외반증의 발생에는 유전적 소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유전적으로 평발이거나 발 볼이 넓은 경우, 무지외반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후천적으로 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 무지외반증에 걸릴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무지외반증의 치료는 환자가 느끼는 증상, 변형의 심각성, 치료의 목적(염증과 통증의 조절인지, 미용적 문제까지 해결하는 것인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지외반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증상을 조절하고 변형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볼이 넓고 부드러운 신발을 착용하거나, 교정을 위한 깔창이나 보형물을 사용합니다. 심한 변형이 동반된 경우, 수술을 통해 교정해야 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