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여러나라에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가 뭔가요?
최근 뉴스에 미국이 멕스코,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뉴스를 봤어용! 근데 결국 해당나라 물픔에 관세를 부과하면 이는 결국 소비자가가 올라가는 영향을 줘서 미국인들에게 안좋은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따라서 트럼프는 이러한 관세를 정치적인 카드로 활용하면서, 이러한 관세부과를 통하여 미국내 제조업의 부흥을 노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세부과로 얻는 이득이 물가상승보다 크다고 믿고 있으면서도 가능하면 관세부과 없이 협상에서 승리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미국의 무역 적자를 줄이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또한, 관세 수입을 통해 감세 정책으로 인한 세수 감소를 보완하려는 계산도 있습니다. 트럼프는 향후 10년간 4조6천억 달러 규모의 감세를 추진하면서, 관세로 이를 충당하려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관세 부과로 인한 수입 비용 상승은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로 인해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는 이유는 정치적 목적도 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지지 기반을 공고히 하고, 국제 무대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미국에 유리한 무역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산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면, 해당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수출국에서는 가격을 올리거나,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가격 상승이 이어집니다. 결국 이는 미국 내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쳐 가격이 올라가게 되고, 생활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입장에서는 자국의 제조업을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외국산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미국 내 기업들이 더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입니다. 그렇지만, 단기적으로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불리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소비자 물가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이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