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부과 정책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트럼프는 말 안듣는 나라에 대해 관세부과를 통해 미국의 우월성을 유지하려고 하는데요
2월1일 기준으로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부과를 시행하겠다고 하는데요
캐나다. 멕시코 석유엔 10%, 중국산 제품에는 10%를 부과한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관세를 부과하면
현재 미국에서도 인플레이션으로 물가를 잡으로고 하는데
그럼 관세부과로 인해 오히려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텐데
왜 이런 이중적인 정책을 펼치는지 상세한 설명 바랍니다.
![답변의 개수](/questions/_next/image?url=https%3A%2F%2Fmedia.a-ha.io%2Faha-qna%2Fimages%2Fcommon%2F3D%2Fanswer.png&w=64&q=75)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이중적인 정책이기에 실제로 트럼프는 관세부과에 대하여 생각보다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현재 관세부과의 카드로 타국가와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우려가 충분히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다만, 협상이 원하는대로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관세를 부과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일면 미국 내 소비자 후생을 후퇴시키고,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정책이지만, 일단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관세를 통해 국가들을 협상테이블로 데려오고 필요시 관세를 부과하며, 이를 통해 무역적자를 해소하고, 세수를 확보하며, 미국내 투자를 유치하는 등의 세부 전략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미국으로의 수입 자체를 줄이는 것이 관세부과의 목적이 될 수있기 떄문에 어느정도의 손해는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