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8.11

나라별 인구와 경제는 어떤 관련이 있나요?

나라별로 인구수가 다른데, 이는 경제는 어떤 관련이 있나요? 중국이나 인도를 보면 인구가 많은 나라이지만 경제가 좋다고 못하잖아요. 인구는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구가 많은 국가의 경우에는 내수 경제의 규모가 커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요. 그리고 국민의 숫자가 많을수록 해당 국가의 기업들의 성장성은 높은데 그 이유는 쉽게 생각하면 우리나라 기업은 5천만개를 팔수 있지만 중국은 10억개를 팔 수 있게 되기 때문이에요.

    즉, 중국 기업들은 수출을 하지 않아도 10억개를 팔 수 있는 시장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수출을 하지 않으면 5천만개 밖에 팔지 못하기 때문에 기업들의 경쟁력은 크게 위축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에요

    하지만 인구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잘 사는 것은 아니고 이 인구를 통해서 어떻게 산업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국민들 1인당 GDP수준과 이를 통한 소비력 수준이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수와 경제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더 많은 인구는 경제 성장과 생산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인구 구조와 교육 수준도 경제에 영향을 미치며, 소비 수요와 노동력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과도한 인구 증가는 인프라와 자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낮은 성장률은 경제 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생산가능인구가 1% 감소하면 국내총생산 (GDP)는 약 0.59% 줄어들고, 피부양인구가 1% 증가하면 국내총생산 (GDP)는 약 0.17%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즉, 한 나라의 경제력은 보통 전체 GDP로 판단 하는데 중국의 경제가 이렇게 성장 할 수 있는 배경에는 15억이라는 인구가 관여 한 것은 부정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과 인도는 빈부격차가 큽니다 한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본같은 경우도 그러한데 문제는 상위층의 재산이 너무 쏠려있다는 겁니다

    소수의 자산가들이 내수를 살릴수는 없습니다

    배달일을 하더라도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1인의 부자가 10만원씩 사먹는거보다는

    100명이 만원씩 사먹는것이 배달일을 하는 사람과 소상공인에게 좋은 거고요

    음식점의 매출은 1차생산인 쌀 야채 정육을 판매하는 사람에게도 좋은거죠

    이러한 순환은 세금이 됩니다

    인구가 많고 적정한 임금, 재산이 있어야 고루고루 성장하는 것이 내수경제입니다

    지금처럼 세계경제가 어렵고 무역이 어렵다면 내수가 기본이 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어느정도 인구수가 뒷받침되어야

    내수 시장도 활성화되고 추후 고령인구에 대한

    복지 등도 지원가능하며 노동가능인구도 제공가능한 등하기 떄문에

    기본적인 인구도 어느정도 뒷받침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