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10.31

명목 GDP와 실질GDP는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명목 GDP와 실질GDP는 무슨 차이인가요?

제가 알고 있기론 명목 GDP는 시장의 부피를 측정하고

실질 GDP는 시장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라는데...

이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환율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로 치면,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면 명목 gdp (달러기준으로봅니다)가 올라갑니다.


    실질 gdp는 재화의 양으로 측정하기때문에 환율의영향을 받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당해년도 물가 x 당해년도 생산량으로 계산,

    실질 gdp는 기준년도 물가 x 당해년도 생산량으로 계산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주시면 되세요

    • 명목 GDP : 물가상승이 반영된 현재 물가로 계산한 국내총생산

    • 실질 GDP : 금액 변동을 제거 후 생산량 변동만 반영한 기준 금액으로 계산한 국내총생산


  • 안녕하세요. 박현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명목 GDP (Nominal GDP):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에서 생산된 모든 종류의 재화와 서비스의 총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것은 특정 연도의 현재 가격에서 국내 총생산을 계산한 것입니다. 명목 GDP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의 영향을 받아 변동합니다. 따라서 명목 GDP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경제의 크기와 성장을 보여줍니다.

    2. 실질 GDP (Real GDP): 실질 GDP는 특정 기간에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 가치를 일정한 기준 연도의 가격 수준에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이것은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의 영향을 제거하고 실제 생산의 양적 측면을 나타냅니다. 실질 GDP는 경제의 성장 또는 축소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장 이 둘의 가장 주요한 차이점은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에서 생산된 가치를 측정하며, 물가 상승 또는 하락의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 실질 GDP는 일정한 기준 연도의 가격 수준에서 가치를 측정하고, 물가의 영향을 제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GDP는 현재 시장 가격에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것 입니다. 명목GDP는 물가 상승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GDP 수치 입니다.

    반면에 실질GDP는 명목GDP에서 물가 상승 영향을 제외한 GDP입니다. 이를 통해서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배제하고 경제활동의 실제 성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으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계산하는 반면,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 등 외부 요인들로부터 정정된 값을 사용하여 경제 활동의 본질적인 변화를 분석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nominal)과 실질(real)은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느냐 여부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이는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의 차이과 같은 의미로 가령, 명목상 2% 성장 했더라고 물가 상승률이 2%이며 실질 성장률은 0%가 되는 셈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gdp 현재 시장가에서의 총생산 가치로 산정

    실질gdp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가치 산정

    ex)

    사과 1개 기준점 2022년 100원

    2023년 현재 사과 130원 , 물가상승률30%

    = 명목gdp반영 130원

    = 실질gdp반영 물가상승률30%와 사가값상승30% 동일 , 실질적 가치는 같다 라고 보기에 100원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