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삼국시대 의복문화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삼국시대 그려진 벽화나 그림들을 보면
머리에 쓴 모자에 깃털같은 것들이 있던데
삼국시대 당시 머리의 깃털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아무 이유 없이 머리에 장식한 것은 아닌 것 같은데
깃털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우관(鳥羽冠)은 삼국시대 남자들이 썼던 변형모로 절풍, 피관, 나관 등의 관모에 새의 깃털을 꽂아 신귀천을 가렸다고 합니다. 조우관은 ‘관모(冠帽)’와 새 깃의 ‘조우(鳥羽)’로 나뉜다고 하는데 관모 부분은 고깔형의 절풍모로 동물 가죽이나 명주실(나, 羅), 금속 등의 재료가 쓰였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자연적인 깃털을 사용하였으나 점차 금속제(금, 은 등)로 새의 깃털(조우상, 鳥羽狀)이나 사슴뿔(녹이상, 鹿耳狀)로 금구장식을 만들어 달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것은 후일 조서시대 갓과 같은 형태로 변형 되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