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22.07.04

악어와 악어새는 정말 공생관계인가요?

안녕하세요? 인생을 살면서 누군가의 도움을 받고 제가 도움을 줄때도 있잖아요. 공생하면 떠오르는 악어와 악어새 있잖아요. 얘네들 정말 공생관계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자드락비입니다.

    악어는 평생 동안 3,000개가 넘는 이빨이 빠졌다 났다 반복돼요. 새로운 이빨이 다시 돋아나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해줄 치과 의사가 필요하지 않답니다. 또 악어는 이빨 사이가 넓어 찌꺼기가 심하게 끼지 않아요. 악어의 이빨은 씹는 용도가 아니라 사냥 후 먹잇감을 찢는 용도이기 때문이죠!

    이집트물떼새는 작은 벌레, 식물의 열매, 씨앗 등을 주로 먹는 새예요. 그래서 육식동물인 악어의 이빨에 낀 고기를 먹지 않는답니다.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인 ‘헤로도토스’는 여행을 다니다 뭍으로 나와 입을 벌린 채 쉬고 있는 악어를 발견했어요. 이를 보고 자신의 책 <역사>에 ‘…벌어진 악어 입 속에서 악어새는 거머리들을 먹어 치운다. 이런 관계는 이롭다’라고 기록했답니다.

    이후 이집트물떼새는 여러 서적에 등장하는데요,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물사>에서는 악어와 악어새의 관계를 ‘이빨 청소’로 설명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악어와 악어새의 이야기는 오랜 시간 동안 ‘상식’으로 회자되고 있는데요, 잘못된 상식의 예라고 할 수 있겠네요.

    출처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2499543&memberNo=27906075


  • 안녕하세요. 조신한븍극곰100입니다.

    그렇게들 많이 알고있지만 악어새 이름도 교과서에도 그렇게 쓰여있지만실제로 악어와 악어새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근거가 없는 소문에 불과할 뿐입니다.

    악어는 이빨이 손톱처럼 빠지고 나기에 이빨관리 따위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