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25~40% 관세 부과하겠다고 하던데

트럼프가 한국 포함 14개국에 25~40% 관세 부과하겠다고 하던데, 이러면 우리나라 수출기업들 엄청난 타격 오는 거 아닌지? 정부는 어떻게 대응할 건지도 궁금하고, 이런 식이면 우리도 뭔가 맞대응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정부는 워싱턴에서 꾸준하게 미정부와 회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간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기업들은 관세부과 전후를 노려서 가장 최저 관세율로 통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부분은 물품가격의 전체적인 상승 그리고 경기둔화로 인하여 스테크 플레이션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기에 개인, 기업의 입장에서 해당 부분에 대한 대비도 하여야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런 조치가 현실화되면 영향을 받는 업종이 분명히 생깁니다. 특히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나 철강 같은 품목은 관세만으로 가격 경쟁력을 잃을 수 있어서 수출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자간 협정이나 WTO 틀 안에서 대응 논리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있는 걸로 알려져 있고, 정부 차원에서도 양자 협의를 통해 예외 적용이나 유예 같은 실질적 조치를 요청하고 있는 단계라고 합니다.

    맞대응에 대해서는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무역 보복은 양쪽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우리나라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에서는 실익을 고려한 대응이 우선시될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관세 부과 품목, 적용 시점, 미국 내 정치적 변수까지 다 지켜봐야 최종 방향이 잡힐 수 있을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국가별 관세는 달리 적용되지만 우리나라는 25%의 관세를 적용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8월 1일 시행예정이며, 그 이전에 국가별 협상결과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되는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물품들은 가격경쟁력이 약화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른 피해를 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미국정책에 대한 보복보다는 협상의 기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이 14개국에 대해 25∼40% ‘상호 관세에 대하여 적용 한 상황은 우리나라의 경우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클것입니다. 수출물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는 원가 상승에 따른 경쟁력 하락을 맞이하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8월 1일까지의 유예 기간을 가진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미 국무·무역대표와의 협의 등을 통해 관세 인하를 적극 추진 하여 극복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25~40% 관세면 수출기업들 입장에선 마진이 날아가는 수준이라 진짜 타격 큽니다. 특히 미국 비중 큰 업종은 견적 다시 짜야 할 상황 올 수도 있고요. 정부도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으로 대응팀 꾸려서 미국 측이랑 협의 채널 열어두고는 있는 걸로 보이는데, 실효성은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우리도 무조건 맞대응보단, FTA나 제3국 우회, 국내 보조금 같은 방식으로 실무적 대응 먼저 챙기는 게 현실적인 수순일 수 있습니다. 감정 싸움으로 가면 무역이 더 꼬입니다.